보내는 기사
한일 정상, 파국 피했지만…'굴욕 외교' 논란 번졌다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간 정상회담이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진통 끝에 성사되면서 파국은 막았다. 양국 정상이 양자회담으로 만난 건 2019년 12월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총리 회동 이후 2년 9개월 만이다.
그러나 30분간 이뤄진 만남은 정식회담이라고 부르기 어려운 형태로 진행됐다. 양국의 국기나 회담 테이블은 물론 합의 내용과 언론 발표 등이 전무했다. 강제동원 배상 등 핵심 현안에 대한 진전도 없었다. 대통령실은 ‘약식회담’으로 칭했지만 이를 주최한 일본은 외려 ‘간담회’라고 깎아내렸다. 윤 대통령이 회담을 위해 기시다 총리가 참석한 행사장에 찾아가면서 ‘저자세 외교’ 논란까지 번졌다.
대통령실은 회담 직후 현지 브리핑에서 “한일 간 여러 갈등이 존재함에도 양 정상이 만나 해결을 위한 첫걸음을 뗐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회담 시작 2분 후에야 언론에 공지될 정도로 막판까지 진통을 겪은 만큼, 만남 자체에 의미를 부여한 것이다.
그 과정에서 우리 측이 매달리고 일본은 버티는 듯한 모양새로 흘렀다. 대통령실이 15일 “한일 정상이 유엔총회 계기로 정상회담을 열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하자 일본 측에선 불쾌한 반응이 나왔다. 일본 언론은 당국자를 인용, “회담 가능성이 불투명하다”며 “징용공(일제 강제동원 노동자) 소송 문제에 진전 없이 정상회담에 응하는 것에 신중하다”고 뉘앙스가 다른 내용을 전했다.
우여곡절 끝에 성사된 회담이지만 가시적 성과조차 없었다. 대통령실은 “북한 핵 프로그램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공유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자는 데 의견을 함께했다”고만 설명했다. 한국의 최대 관심사인 과거사 문제는 물론 윤 대통령이 최근 의욕적으로 밝힌 ‘그랜드 바겐’(일괄타결)을 통한 한일관계 해법도 뒷전으로 밀렸다. 사실상 ‘빈손' 회담이었다.
만남 형식을 놓고도 잡음이 일었다. 기시다 총리가 참석한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 관련 행사가 벌어진 건물로 윤 대통령이 찾아가면서 회담이 전격 성사됐다. 미리 대기한 일본 취재진과 달리 한국 기자들은 회담 시작 후에야 일정이 공지돼 현장에 접근할 수 없었다. 특히 일본 언론은 회담 장소를 ‘주유엔 일본대표부’라로 타전했다. 정상회담 장소와 방식, 과정, 내용을 놓고 ‘굴욕 외교’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와 관련 외교부 관계자는 “양국 간 정례적으로 회동할 때 호스트(주최)를 차례로 맡는 것이 외교적 관행”이라며 “이번에는 일본이 호스트였다”고 밝혔다. 일본이 주최하는 만큼 장소 선택권이 기시다 총리에게 있다는 뜻이다. 그럼에도 주최국인 일본은 이번 회담을 ‘간담회’로 지칭하며 의미를 축소시켰다. 이 관계자는 “유엔 등 다자무대에서 다양한 방식의 회담과 회동이 많은데 명칭에 대한 명확한 개념은 없다”고 설명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