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의 한반도 산림자원 수탈

입력
2022.09.08 04:30
26면
구독

9.8 조선목재통제령

압록강, 두만강 일대는 조선 최대 목재산지였다. 1930년대 목재가 뗏목처럼 운송되는 압록강 풍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진

압록강, 두만강 일대는 조선 최대 목재산지였다. 1930년대 목재가 뗏목처럼 운송되는 압록강 풍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진

17, 18세기 소빙하기가 도래했다. 왜란을 겪어낸 조선 후기 백성들은 이상 저온으로 인한 흉작과 질병으로 난리에 버금가는 시련을 겪었다. 이른바 '기근의 시대'였다. 양반들이 천시하던 평민들의 구들, 온돌이 궁으로 확산된 것도 이 시기였다. 우암 송시열이 궁내 온돌을 다시 마루로 바꾸자고 요청했으나 왕이 거부했다는 일화도 실록에 등장한다. 서민들도 온돌방을 늘리고 화력을 높이기 위해 아궁이를 넓혔다. 기근을 면하기 위해 산비탈을 개간하거나 화전을 일구는 이들이 많아졌고, 땔감 수요에 맞춰 벌목도 늘어났다. 조선의 산은 점점 더 헐벗어갔다.

당시 나무는 거의 유일한 에너지원이자, 근년과는 다른 의미의 재생가능 에너지였다. 돌과 더불어 독보적인 건축·토목 재료였다. 철도 침목에도, 선박 건조에도, 광산 갱목으로도, 마차 제작에도 나무가 쓰였다. 일제 총독부도 당연히 농정 못지않게 임정(林政)을 중시했다. 대대적 임야조사사업(1917~24)을 벌여 1925년 ‘조선의 목재’라는 책자를 발간했고, 1927년 한반도 최초의 산림자원 통계까지 냈다. 조선 목재 산업이 폐쇄경제 체제에서 개방경제 체제로, 즉 수요·공급 일치 시스템에서 흑자·적자 시스템으로 전환한 것도 그때부터였다.

1927년 조선의 평균 임목축적, 즉 ha당 생육 중인 나무의 부피는 16.6㎥에 불과했다. 목재 자급률도 일제 시대를 통틀어 대체로 100%에 미치지 못했다. 일제는 중일전쟁 전까지 중국서 목재를 수입했고, 민간자본까지 끌어들여 조림사업을 벌였다. 하지만 벌목량은 언제나 나무의 자연생장량을 초과했다. 총독부는 전시인 1942년 9월 8일 ‘조선목재통제령’을 발령, 민유림을 포함한 모든 나무의 생산 소비 유통 권한을 총독 직영 조선목재주식회사로 일원화한 거였다. 1943년 평균 임목축적은 13.2㎥였지만, 자연생장률을 감안하면 1927년 대비 18.3㎥가 감소한 거였다.(국립산림과학원, ‘일제강점기 조선의 목재 수급과 산림자원 변화’ 참조)

최윤필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