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국민의 '맞춤 집사' 자부하는 디지털플랫폼정부

입력
2022.09.06 04:30
25면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우리는 플랫폼 전성시대에 살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식당 방문 대신 배달 플랫폼을 이용하고, 동영상 플랫폼에 접속하여 시간·장소에 구애 없이 여가를 즐기고, 고물가시대 슬기로운 소비생활을 위해 중고 거래 플랫폼을 애용하고 있다.

이처럼 일상 속 깊숙이 파고든 플랫폼 사업은 '맞춤형' 또는 '초개인화' 서비스로 점차 발전되고 있다. '초개인화'란 플랫폼 등에 수집된 개인의 데이터를 인공지능으로 분석, 개인의 다양한 상황에 맞춰 최적서비스를 제공하는 걸 의미한다. 개인 취향에 맞는 추천 서비스의 고도화로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 변화에 맞춰 올해 5월 출범한 새 정부도 미래지향적 행정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몰라서 본인이 받는 혜택을 놓치거나, 관공서를 여러 군데 다니느라 시간 뺏는 일을 없애고, 정부가 집사처럼 국민 개개인의 여러 혜택을 맞춤형으로 제공하겠다'며, 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초개인화 맞춤형 행정서비스 추진을 국민에게 약속한 바 있다.

행정안전부는 약속을 이행하기 위해 '마이AI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다. '마이AI 서비스'는 개인의 별도 신청 없이도 행정기관 등이 보유한 개인 데이터를 연계·분석하여 개인에게 필요한 수혜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추천해주고, 이후 안내와 자동 신청, 처리·수령까지 한 번에 완결형으로 지원해주는 초개인화된 행정서비스이다.

지난 7월 26일 행안부 업무보고에서 2024년도부터 본격 서비스할 계획임을 밝혔다. 앞으로 마이AI 서비스가 도입되면 그간 각종 벽에 가로막혀 정당한 혜택과 수혜를 받지 못해 일어난 불편과 불만 사례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들어 갑작스러운 재해를 입은 이재민 등이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알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알려주고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정부의 노력과 함께 민간의 참여와 협업이 필수적이다. 진정한 플랫폼 정부로서 나아가기 위해서는 민간의 우수한 서비스와 선진화된 기술을 접목시키는 것을 빼놓을 수 없기 때문이다. 2일 출범한 대통령 소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를 구심점으로 민간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소통하여 모든 국민에게 초개인화 맞춤형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각도에서 검토하고 철저히 준비해 나가겠다.

'모르면 손해'라는 말이 있다. 그러나 디지털플랫폼정부의 맞춤형 서비스를 통해 내 일상을 도와줄 똑똑한 집사가 생겨나면 공공·행정 부문에서는 더 이상 이런 이야기가 회자되지 않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