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모두가 '디지털 인재'가 되는 시대

입력
2022.09.01 04:30
25면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8월 22일, 교육부는 관계부처와 함께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을 발표했다. 향후 5년간 100만 명의 디지털 인재양성을 목표로 초·중등학교, 대학, 민간 등 전 영역에 걸쳐 초급부터 고급까지 다양한 수준의 디지털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적극 나서겠다는 내용이다.

많은 분이 스마트폰을 분실하고 당황했던 경험을 한 번쯤 해 봤을 것이다. 버스와 택시를 기다리고, 음식이나 물건을 주문하는 일도 이제 스마트폰으로 이뤄진다. 이미 디지털 세상은 우리 일상에 깊숙이 들어와 있다. 우리 사회는 디지털 시대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면서 변화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다. 이미 달라진 미래 사회에 잘 적응하려면 디지털 역량은 필수가 되었다.

우리 학교교육 역사에서 초등 의무교육 실시를 가장 모험적이었던 정책으로 손꼽는 전문가들이 많다. 해방 당시 문맹률이 80%에 가까웠던 나라가 전쟁통 피란 천막에서, 마을 어귀 정자나무 아래에서 기초 문해교육을 실시했고, 6·25전쟁 직후에도 국가 총 예산의 10%가 넘는 돈을 쏟아부으며 초등 의무교육을 시작했다. 이러한 과감한 투자는 산업화와 민주화의 밑거름이 됐다.

우리는 세계사적인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70여 년 전에 초등 의무교육을 결단했던 것처럼, 도전적인 인재양성 정책이 필요하다. 인공지능, 메타버스, 사물 인터넷 등이 일상이 되는 디지털 시대를 살아갈 국민들께서 저마다 필요한 디지털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준비하고 뒷받침해야 한다.

학령인구 급감으로 한 명 한 명의 아이들이 더욱 소중해진 상황에서 이번 대책을 대입과목 신설이나 평가점수화로 오해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초·중등 정보교육은 학생들이 학교 수업만으로도 충분하게 배우고 즐길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준비할 계획이다. 점수로 누군가를 떨어뜨리는 교육이 아니라 협력과 소통을 통해 모두가 역량을 갖추어 나가는 교육을 실행하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정보교과 이외에 수학, 과학, 음악 등 여타 과목에서도 디지털 기술과 융합하는 역량을 키우도록 '2022 교육과정'을 대폭 개편할 예정이다. 교원의 재교육 연수를 충분히 실시하고, 늘어나는 정보교과 수업 시수에 맞춰 담당 교원도 확대 배치할 계획이다. 대학에서도 디지털 관련 연구개발 분야뿐만 아니라, 인문·사회·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전공과 디지털 기술을 융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초등 의무교육이 우리나라의 산업화와 민주화의 든든한 기반이 된 것처럼,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이 미래 디지털 사회를 이끌 인재를 양성하고 우리나라가 디지털 선도국가로 도약하는 마중물이 되길 희망한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