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가처분 인용 대응 '긴급 의총'… 권성동 비대위 체제에 힘 싣나

입력
2022.08.27 17:59
수정
2022.08.27 22:22
구독

국민의힘 의원 115명 중 90여명 참석

주호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7일 국회에서 열린 긴급 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뉴스1

주호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7일 국회에서 열린 긴급 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뉴스1

국민의힘이 27일 법원에서 주호영 비상대책위원장 직무 결정이 내려진데 대한 대응 논의를 위한 긴급 의원총회를 열었다. 권성동 원내대표의 비대위원장 직무대행 체제로 전환할지에 대한 결론을 내기 위해 '마라톤 회의'에 돌입했다.

국민의힘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10분쯤 시작된 긴급 의총에 당 소속 의원 115명 중 90여명이 참석했다.

의총 참석에 앞서 비대위원·중진 의원들과 연달아 간담회를 갖고 대책을 논의했던 주 비대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현 사태에 관한 의견을 말했는데 결론난 건 없고 의총에서 더 논의할 것"이라며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였다. 권성동 원내대표도 "의견을 모으려고 (의총에서) 모인 것이지 않나"라며 말을 아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지도부 구성 문제를 놓고 엇갈린 의견을 나타내고 있다. 크게 ①주 비대위원장을 대신해 권 원내대표가 직무대행 맡기 ②비대위 대신 최고위원회를 재구성 ③권 원내대표가 사퇴하고 새로운 원내대표 체제를 출범시키는 방안이다.

현재까지 당 지도부는 '권성동 직무대행 체제'에 힘을 싣는 모습이다. 의총에 앞서 국민의힘은 법률대리인인 황정근 변호사 명의로 배포한 '가처분 결정 검토 및 현황분석' 보도자료에서 "법원이 가처분 인용 결정을 하면서 직무대행자를 별도로 선임하지 않은 이상, 이는 당 대표 사고에 준하므로 당헌에 따라 원내대표가 비상대책위원장 직무대행을 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또 "비대위원장 직무집행정지 결정만으로는 비대위가 바로 해산되는 것이 아니다"라며 "향후 비대위원 8인에 대한 별도의 직무집행정지가 되지 않는 이상 비대위원 8인의 법적 지위는 그대로 유지된다"고 했다.

다만 의총에서 어떻게 의견 수렴이 이뤄질지가 관건이다. 김태호 의원은 '권성동 원내대표의 직무대행 체제로 가야 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새롭게 출발해야 되지 않겠나. 이대로 갈 수 있겠나"라고 말했다. 반면 권 원내대표와 가까운 장제원 의원은 '권성동 원내대표는 그대로 가야 하나' 등의 질문을 하자 "들어가서 봐야죠"라며 즉답을 하지 않았다.

김지현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