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20세 청년의 ‘건강 나이’가 왜 40세일까?

입력
2022.08.28 17:30
20면
구독

[헬스 프리즘] 김성권 서울대 명예교수(서울K내과 원장)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처음 진료를 받으러 오는 환자의 얼굴과 전자 차트를 번갈아 보면서 놀랄 때가 종종 있다. 생년월일은 80대인데 외모가 60대처럼 보이는 사람들을 만나면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말을 실감한다.

모두 나이에 0.7~0.8을 곱할 정도로 젊게 살 수 있으면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심지어 나이에 2, 3을 곱할 만큼 건강이 나쁜 사례들도 있다.

20대 A양. 키 157㎝에 체중 82㎏으로 체질량지수(BMI)가 33이다. BMI 25 이상은 과체중, 30 이상은 비만이다. A양은 당뇨병, 이상지질혈증이 있고, 간 수치(AST, ALT)도 기준보다 훨씬 높다.

그의 콩팥 기능을 나타내는 사구체 여과율은 150mL/분으로 정상(90~100mL/분)보다 크게 높다. 임신부가 아닌데도 콩팥 기능이 이처럼 비정상적으로 높은 경우는 거의 없다. 비만으로 인해 콩팥에 심각한 과부하가 걸려 있다는 뜻이다.

이를 방치하면 콩팥 기능이 치명적으로 손상돼 만성콩팥병 진단 기준인 60mL/분 미만으로 떨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A양의 ‘건강 나이’는 40대다.

10대 B군은 키 156cm에 체중 71kg으로 BMI는 29다. B군은 이미 비알코올성 지방간, 만성콩팥병, 빈혈이 있다. B군도 현재의 상태로 가면 20대에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40대쯤 되면 심ㆍ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수 있고, 콩팥이 망가져 투석이나 이식을 받아야 할 가능성도 있다.

고혈압ㆍ당뇨병ㆍ이상지질혈증 등 만성질환을 요즘은 대사질환 또는 생활습관병이라고 말하지만, 예전에는 ‘성인병’이라고 했다. 중ㆍ장년 성인들에게나 생기는 병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10, 20대에 이미 만성질환을 여러 개 가진 사례들이 늘면서 이제는 성인병이란 말을 쓰지 않는다.

젊은 세대의 만성질환 증가를 주목해야 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대표적 만성질환인 고혈압 유병률(19세 이상ㆍ2020 국민건강통계)은 22.9%, 당뇨병은 10.7%, 이상지질혈증은 19.7%다. 20대의 고혈압은 4.4%, 당뇨병은 0.7%, 이상지질혈증은 5.2%로 아주 높지는 않다. 이 수치만 보면 뭐가 걱정일까 싶다.

하지만 고혈압ㆍ당뇨병과 함께 대사질환의 하나로 분류하는 비만 통계를 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30대 남성 비만율은 무려 58.2%, 20대도 41.5%나 된다. A양과 B군처럼 젊은 층의 고혈압ㆍ당뇨병ㆍ만성콩팥병 등의 출발점은 대부분이 비만이다. 잠재적인 만성질환 환자가 수백만 명에 이른다고 할 수 있다.

코로나19 이후 걷기 등 활동량이 줄었고, 비만 인구가 늘고 있다는 발표가 잇따르고 있다. 특히 젊은 층 비만율 증가 현상이 뚜렷하다.

지금 20, 30대의 상당수는 100세 안팎까지 살 것이다. 그런데 20, 30대에 비만으로 시작해 각종 만성질환에 허덕여서는 건강 장수는 고사하고, 인생의 절반 이상을 유병(有病) 기간으로 보내야 할지도 모른다. 그 많은 진료비와 간호ㆍ간병 비용을 우리 사회가 감당할 수 있을까? 미래 세대의 비만 문제 해결을 나라의 백년대계 앞 페이지에 올려야 한다.

김성권 서울대 명예교수(서울K내과 원장)

김성권 서울대 명예교수(서울K내과 원장)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