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우크라이나 전쟁 6개월, 겨울 에너지 위기 적극 대처를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한 지 6개월을 넘었다. 지난 2월 24일 러시아의 전면 공격으로 시작된 전쟁은 우크라이나의 많은 곳을 폐허로 만들며 10만 명 넘는 사상자를 냈다. 24일에도 러시아의 기차역 공격으로 민간인 65명이 숨지거나 다쳤다. 핵 공격 위협까지 고조되던 전쟁은 교착상태에 빠져 희생자만 양산하는 소모전으로 치닫고 있다.
출구가 보이지 않는 전쟁은 언제 끝날 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우크라이나는 빼앗긴 땅을 되찾을 때까지 싸우겠다는 입장이고 러시아는 장기전에 대비하며 에너지 무기화로 서방에 혹독한 겨울을 예고했다. 확전을 우려한 미국은 우크라이나 방어선이 무너지지 않을 정도의 군사지원으로 전쟁을 ‘관리’하고 있다.
전쟁은 우크라이나에 머물고 있지만 그 파장은 유럽과 전 세계에 미치고 있다. 서방의 대러 제재는 코로나19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문제를 가중시키며 부메랑이 되고 있다. 러시아 원유 제재는 에너지 위기로, 우크라이나 곡물수출 제한은 식량위기로 번졌다. 원자재 가격과 물가 상승이 가속화하면서 금리 인상과 동시에 경기침체 우려까지 전 세계를 급습하고 있다.
동아시아에선 미국 주도의 서방과 러시아·중국의 대결구도가 정착되며 안보와 경제질서가 재편되고 있다. 제2의 우크라이나 위기에 처한 대만 문제로 미중 대립 지점은 어느 때보다 넓어졌다. 이에 북한이 편승, 북중러 3국 연계 구도가 형성되면서 한반도 평화 관리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전략물품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는 경제동맹 구축은 한국의 선택을 강요하고 있다.
무엇보다 임박한 위기는 에너지 공급 문제다. 러시아가 8월 말 사흘간 천연가스 공급 중단을 예고하면서 유럽발 에너지 위기는 고조된 상태다. 유럽은 겨울철 공급 중단이란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 자구책을 세우고 있으나 이는 결국 제한된 물량확보 경쟁일 수밖에 없다. 당장은 문제가 없다지만 국내 수급에도 여파가 불가피하다. 민관이 함께 공급원 다양화, 중장기 공급계약 등을 포함한 에너지 비상대책부터 서둘러야 할 때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