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대우, 정치적 판단 오류로”…
외환위기 그리고 김우중의 한탄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김용태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 윤 대통령에 쓴소리
"어떻게 그런 인식하게 됐는지... 참모들 뭐 하나"
"권 대행도 내부총질로 생각하는지 묻겠다"
윤석열 대통령이 권성동 국민의힘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를 향해 텔레그램으로 보낸 '핫 체리' 이모티콘. 언론을 통해 노출된 메시지에서 윤 대통령은 권 대행을 향해 "우리 당도 잘하네요. 계속 이렇게 해야" "내부총질이나 하던 당대표가 바뀌니 달라졌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보내면서 이 이모티콘을 덧붙였다.
윤석열 대통령과 권성동 국민의힘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의 텔레그램 채팅에서 윤 대통령이 이준석 대표를 향해 '내부총질이나 하던 당대표'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이 드러나면서 논란이 커진 가운데 김용태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27일 윤 대통령에 대해 "잘못 생각하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김 최고위원은 이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저희가 내부총질을 하려고 당대표가 혹은 당 지도부의 많은 사람들이 또 청년들이 대통령실과 지도부에 '옳은 소리' 한 것은 아니지 않나"라면서 "정말 (윤 정부가) 잘되게 하기 위해서 당정이 잘 나아가기 위해서 한 것인데 잘못 판단을 하신 건 아닌가"라고 주장했다.
권 대행의 '해명'을 빌자면 윤 대통령의 '내부총질' 표현은 경선과 대선 당시 후보 시절 윤 대통령과 이 대표 간의 갈등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김 최고위원은 이에 대해서도 인식이 달랐다. "탄핵 이후에 무너져가던 당시 야권을 지난 전당대회에서 당 지도부가 새롭게 선출되면서 대선 이기고 지방선거 이겼지 않나"라면서 "설사 당대표가 마음에 들지 않는 행동을 했다고 해서 (윤 대통령이) 그것을 내부총질이라고 인식했다는 것이 정말 당황스럽다"고 말했다.
김 최고위원은 "지난 정권에서 민주당이 잘못할 때 문재인 대통령한테 아무 말도 못하고 그저 '문비어천가'를 외쳤던 민주당 당시 국회의원들과 젊은 정치인들을 향해서 저희가 586 앵무새라고 강하게 비판했던 것 아니겠나"라면서 "그렇게 안 되려고 '옳은 소리' 낸 것을 가지고 내부총질이라고 인식했다는 것에서 저는 매우 아쉬웠다"라고 주장했다.
대통령실 참모진을 향해서도 비난의 화살을 돌렸다. 그는 "대통령께서 한정된 정보로 인해서 잘못된 판단이나 인식을 하실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도대체 대통령실 참모들은 당대표나 당 지도부와 관련해서 대통령께 어떤 보고를 드리고 있는 것인지 궁금하다"면서 "대통령에게 직언할 수 있는 참모가 적다. 그 자리가 심기경호만 하는 자리가 아니지 않나"라고 말했다.
일단 채팅창으로 공개된 '내부총질' 발언의 주체는 당내 '윤핵관'으로 표현되는 권성동 대행이 아니라 윤 대통령 자신이지만, 김 최고위원은 권 대행에게도 입장을 묻겠다고 밝혔다. 김 최고위원은 "텔레그램 발화 주체가 대통령인데 왜 직무대행께서 그 발언을 해석해서 사과문을 올리는지 당황스럽다"면서도 "당대표 직무대행께서 지금 내부총질이라고 인식하시는지 아닌지에 대해서도 국민과 당원 분들께 본인의 생각을 말씀드려야 하지 않나"라고 말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2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울릉도 사진을 올려놓은 모습.
김 최고위원 외에 국민의힘 내 '친이준석' 성향 인사로 분류되는 인물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비판적 입장을 드러냈다. 유승민 전 의원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인스타그램에 문제가 된 윤 대통령과 권 대행 간 채팅창 사진을 공유했다. 김웅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윤 대통령과 이 대표가 대선 기간 함께 활동한 사진들을 올려놓고 '내부총질'이라는 표현을 덧붙였다
박민영 국민의힘 대변인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저는 윤석열 대통령을 믿었는데 지금은 잘 모르겠다"면서 "대통령의 성공과 국민의힘의 변화를 바라는 청년들의 염원이 담긴 쓴소리, 그로 인한 성장통을 어찌 내부총질이라 단순화할 수 있나"라고 주장했다.
천하람 국민의힘 혁신위원은 YTN 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에 출연해 "과거에도 그랬듯 여당이 늘 정부 편만 들고 달콤한 얘기만 하다 보면 기분이 좋을지 몰라도 정부는 잘 될 수 없다"면서 "당내 의견이 다양하게 나오고, 쓴소리가 나오는 것을 안 좋게 본다는 인식을 주면 당내 소신파 의원들이 더 위축되지 않겠나"라고 우려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댓글 1,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