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BA.5 난리인데 더딘 검사·병실 대응… 흔들리는 과학방역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6차 대유행이 본격화됐지만, 정작 이에 대응할 '3T'(검사·추적·치료) 체계는 확산 속도를 못 따라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오미크론 하위 변이인 BA.5와 BA.2.75(켄타우로스)는 전파력이 세고 기존 면역을 회피하는 성질이 강해 조기 검사·치료가 중요하다. 전문가들은 '과학방역'이 되려면 3T 체계가 뒷받침돼야 하는 만큼, 허점을 시급히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5일 오후 9시 기준 확진자는 9만4,213명으로 전주보다 2만3,716명 늘었다. 전주의 2배로 늘어나는 '더블링' 현상은 잠시 멈췄지만, 이날 0시 기준(3만5,883명)인 매주 월요일 확진자를 비교해보면 4월 18일(4만7,726명) 이후 14주 만에 가장 많았다.
BA.2.75 감염자는 1명이 추가돼 누적 감염자가 4명으로 늘었다. 첫 지역 내 감염 사례다. 네 번째 확진자는 충북에 거주하는 20대 외국인으로, 두 번째 확진자인 청주 거주 외국인의 지인이다. 청주 거주 외국인이 입국할 때 공항에 마중나갔는데, 이때 접촉해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13일 확진 판정을 받아 20일 격리가 해제됐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확진자 증가세가 "3T 체계에 허점이 있다는 걸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3T는 한국식 과학방역의 근간으로, 오미크론 대유행 이전까지는 확산을 억제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기존 유행 억제책인 사회적 거리두기를 폐지하면서 이에 맞게 '3T 체계'를 개선했어야 했는데, 방역당국의 준비가 늦었다는 것이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BA.2.75 확진자가 계속 나오는 건 (3T로) 지역사회 전파의 연결고리를 제때 끊어내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실제 밀접 접촉자나 의심 증상자의 검사 환경은 더 열악해졌다. 현재 운영 중인 임시선별검사소는 전국에 10개뿐이다. 2월 중순만 해도 218곳이나 됐지만, 확진자가 줄면서 문을 닫았다. 방역당국은 당시 확진자가 늘어날 경우 신속하게 운영을 재개하겠다고 했고, 앞서 20일에는 전국에 70곳까지 검사소를 늘리겠다는 대책을 발표했었다. 그러나 지난 주말 시민들은 검사소 부족으로 불편을 겪었다며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방역당국은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검사받도록 제도를 바꿨지만, 관련 증상이 없는 경우 검사비를 자비로 부담해야 해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았다.
병상 확보도 더디기는 마찬가지다. 24일 17시 기준 중환자 병상과 준중증 병상은 각각 1,458개, 2,235개다. 정부가 앞서 병상 추가 확보를 위해 행정명령을 내린 20일과 비교하면 중환자 병상 30개, 준중증은 13개 늘어나는 데 그쳤다. 오히려 확진자 증가세가 시작된 12일(중환자 1,466개, 준중환자 2,291개)과 비교하면 줄었다.
확보 속도가 느리다 보니 병상은 빠르게 차고 있다. 12일 기준 10%였던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24일 기준 23%까지 올랐고,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19.8%에서 40.5%까지 올랐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거리두기를 최후의 보루로 남겨둔다고 했으면 '3T 체계'는 진작에 강화했어야 했다"며 "일찍 진단받아 격리하게 해 n차 감염 피해를 최대한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