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복합전시관 탈바꿈... 윤 대통령 "문화·예술공간으로 만들라"

입력
2022.07.21 14:15
수정
2022.07.21 18:16
2면
구독

본관, 영빈관 등 예술 전시공간으로 변모
"국민들의 문화생활 접근 기회 보장하라"

19일 오후 서울 청와대에서 열린 '청와대, 한여름 밤의 산책' 언론 공개 행사에서 참가자들이 본관에서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19일 오후 서울 청와대에서 열린 '청와대, 한여름 밤의 산책' 언론 공개 행사에서 참가자들이 본관에서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21일 청와대를 프랑스 '베르사유 궁전'처럼 건축 원형을 보전하되, 문화·예술을 전시하는 복합 전시관으로 활용할 것을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업무보고를 받은 뒤 "청와대 본관과 영빈관 등 공간이 국민의 복합예술 공간이 될 수 있도록 기획해달라"고 주문했다고 이재명 대통령실 부대변인이 밝혔다.

윤 대통령은 "청와대의 기존 소장 작품뿐 아니라 국내 좋은 작품들을 많이 전시해 국민이 쉽게 감상할 수 있게 해달라"고 지시하고 "현재 기획 중인 이건희 컬렉션을 비롯한 국가보유 미술품들의 지방순회 전시를 활성화해서 모든 지역이 균형 있게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하는 데 노력해달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영화발전기금 대폭 확충과 취약계층에 대한 문화상품 바우처 확대도 당부했다.

박 장관은 업무보고 첫 번째 핵심과제로서 청와대 활용방안을 보고했다. 청와대는 윤 대통령 취임 후 집무실 이전과 맞물려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됐고, 이미 수십만 관람객이 찾은 명소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청와대를 어떻게 활용할지를 두고 각 부처별 계획이 상이했던 터라 윤 대통령이 직접 문체부에 '복합 전시관' 활용안을 지시했다는 데 의미가 크다.

문체부에 따르면 청와대 본관과 관저는 원형을 보존해 관리하되, 예술작품이 함께하는 공간으로 재구성한다. 역대 대통령의 자취와 흔적, 600점이 넘는 미술 작품, 5만여 그루의 수목, 침류각, 오운정 등의 문화재 등 청와대가 가진 문화 예술적 가치가 있는 자산과, 건축물 등을 결합해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자산으로 브랜드화하겠다는 취지다.

영빈관은 프리미엄 근현대 미술품 전시장으로 재구성한다. 박 장관은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영빈관은 미술품 전시에 가장 적합하다"며 "국빈 만찬 장소인 2층 홀은 150평 면적에 높이가 15m에 달하는 공간"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 야외공간은 조각공원 등으로 조성하고, 출입 기자들이 근무했던 춘추관 2층 브리핑실은 민간에 대관하는 특별 전시공간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박 장관은 전시관으로 변모할 청와대의 관람료를 묻는 질문에 "현재로선 기획하는 전시를 무료로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현빈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