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노조 "여야, 권력교체만 되면 공영방송 놓고 공수교대"

입력
2022.07.15 15:00
구독

윤창현 전국언론노동조합 위원장
"공영방송, 언론노조가 좌지우지" 권성동 발언에
"윤석열 정부는 검찰공화국이냐" 반박도
"언론개혁 핵심은 방송의 정치적 독립 제도화"

권성동 국민의힘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1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20대 대선 불공정방송 국민감시단 활동 백서를 들어 보이며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권성동 국민의힘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1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20대 대선 불공정방송 국민감시단 활동 백서를 들어 보이며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KBS와 MBC를 겨냥해 "민주노총 산하 언론노조가 공영방송을 좌지우지한다"고 한 권성동 국민의힘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의 발언에 대해 윤창현 언론노조 위원장은 "언론노조 출신이 운영하니 노영방송이면, 윤석열 정부는 검찰공화국이냐"고 야유했다.

15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한 윤 위원장은 권 대표의 발언과 관련해 "노동조합에서 과거에 활동했던 분들이 경영진이 돼서 경영을 하기 때문에 노영방송이다, 이런 논리구조인데 그렇게 따지면 윤석열 대통령은 검찰 출신이니 윤석열 정부에서 물가가 치솟고 경제난이 벌어지는 건 검찰 책임이냐"며 이같이 말했다.

윤 위원장은 이번 주장이 국회의 원 구성을 놓고 여야의 대결 과정에서 파생된 공격이라는 인식을 드러냈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자리를 놓고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공영방송 장악 의도'라고 주장하고, 여당의 권 원내대표는 '공영방송 장악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는 과정에서 해당 발언을 꺼냈기 때문이다.

윤 위원장은 "민주당도 그렇고 국민의힘도 그렇고 야당 때와 여당 때 입장이 계속 바뀌고 있다"면서 양당 모두를 비판했다. 그는 "야당 때는 이거(공영방송 독립) 해야 된다고 하다가 집권세력이 되면 입장을 바꿔서 제도가 뭐가 문제냐, 내지는 나중에 하자고 하다가 적기를 놓치고, 권력교체만 되면 공수를 바꿔서 서로 공영방송 놓고 쟁탈전을 벌이는 아주 익숙한 풍경"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민주당의) 언론중재법 개정 시도 때도 얘기했지만, 언론개혁의 우선순위 핵심은 방송의 정치적 독립을 제도화하는 문제"라면서 "과방위 문제는 방송을 권력이 통제하고 장악할 수 있는 고리를 끊어낼 수 있느냐, 거기에 중심을 두고 정리하면 될 문제"라고 지적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야당의 '공영방송 장악 시도설'에 대해 "사실무근"이라면서 권 의원 발언에 대해선 입장을 표명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TBS 폐지 조례안은 무책임... '뉴스공장' 문제는 논의 필요"

전국언론노조 TBS지부 조합원들이 지난 5월 26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앞에서 교육방송 개편 반대 기자회견을 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전국언론노조 TBS지부 조합원들이 지난 5월 26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앞에서 교육방송 개편 반대 기자회견을 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한편 윤 위원장은 서울시의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TBS 교통방송 폐지 조례안에 대해선 "구성원이 400∼500명 가까이 되는데, 그런 조례안으로 하루아침에 길거리에 나앉게 하는 것이 서울시의 책임 있는 행정이냐"고 비판했다.

그는 다만 "TBS 문제의 핵심은 결국 김어준씨 프로그램(뉴스공장)을 둘러싼 국민의힘의 반발로 볼 수 있다"면서 "지역 공영방송의 올바른 위상이 무엇이냐는 기준으로 판단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방송을 제대로 만들기 위한 논의라면 상대가 오세훈 서울시장이든 누구든 마주 앉아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 전했다.

인현우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