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화이트 해커 10만명 양성...사이버 예비군 창설"

입력
2022.07.13 18:00
수정
2022.07.13 18:12
구독

판교에서 열린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 참석
하이브리드전 맞는 사이버 전력 고도화 방침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경기 성남시 판교 제2테크노밸리 기업지원 허브에서 제11회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을 마친 후 실전형 사이버 훈련장을 찾아 사이버 침해 대응 훈련생을 격려하고 있다. 성남=서재훈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경기 성남시 판교 제2테크노밸리 기업지원 허브에서 제11회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을 마친 후 실전형 사이버 훈련장을 찾아 사이버 침해 대응 훈련생을 격려하고 있다. 성남=서재훈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13일 "사이버 안보가 국가안보의 핵심"이라며 민간과 공공 인재 역량을 결집한 '사이버 예비군' 창설 계획을 밝혔다. 특히 '선의의 해커'로 불리는 화이트 해커 10만 명을 양성하는 등 사이버 안보 기술을 전략산업으로 육성한다는 방침도 내놓았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판교 정보보호 클러스터에서 열린 '제11회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사이버 안보 강화에 대한 의지를 표명했다. 해당 기념식에 현직 대통령이 참석한 것은 윤 대통령이 처음이다.

윤 대통령은 세계적으로 사이버 안보 위협이 증가하는 추세에 대해 "민간과 공공이 긴밀히 협력하는 사이버 안보 대응체계를 공고히 다져 유기적인 정보공유 분석체계를 구축해 사이버 위협을 효율적으로 예방·대응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군의 사이버전 역량 강화와 관련해서는 "하이브리드전으로 변모하는 전쟁의 양상에 대응하기 위해 사이버 전력과 기술을 고도화하겠다"고 했다. 이어 "군 전문분야 복무와 전역 후 취업과 창업을 연계하는 '사이버 탈피오트'와 민·관의 역량을 결집하기 위한 '사이버 예비군'도 창설해 사이버전 수행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또 사이버 인재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대학·대학원의 사이버 전공 과정을 확대하고, 최정예 개발인력과 화이트 해커 육성체계를 통해 10만 인재를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블랙 해커는 통상 인터넷 시스템을 파괴하지만 화이트 해커는 취약점을 미리 찾는 역할을 하는데, 이들을 육성하기 위한 국가 지원을 늘린다는 뜻이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사이버 범죄 척결을 위해 국제사회와 협력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경기 성남시 판교 제2테크노밸리 기업지원 허브에서 열린 사이버 인재 양성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성남=서재훈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경기 성남시 판교 제2테크노밸리 기업지원 허브에서 열린 사이버 인재 양성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성남=서재훈 기자


청년 인재 만난 尹 "많이 듣겠다"

판교 정보보호 클러스터는 보안 분야 기업 육성을 위해 만든 허브다. 실전형 사이버 훈련장을 비롯해 사이버 교육장, 정보보호 스타트업 육성 공간, 사물인터넷 테스트베드 등 인프라가 갖춰진 곳이다.

윤 대통령도 이날 실전형 사이버 훈련장을 방문해 사이버작전사령부가 수력발전소가 해킹당한 상황을 가정해 악성코드를 분석하고 보고서를 작성하는 과정을 참관했다. 윤 대통령은 "(사이버전에선) 속도가 제일 중요하다. 공격이 성공하려면 상대가 방어하기 전에 치고 나가야 한다"며 "속도가 제일 중요하니 건투해주길 부탁한다"고 군 훈련생들을 독려했다.

이후 사이버 인재 양성 간담회에서 청년들을 만난 윤 대통령은 "제가 아는 게 없어 많이 듣겠다"고 거듭 농담을 하며 경청의 뜻을 강조했다.


김지현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