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우영우'가 쏘아 올린 상생의 꿈...K드라마 '장애인 서사' 신드롬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3주 전까지 케이블 채널 ENA를 아는 사람이 얼마나 있었을까. 오지 같았던 이 채널에서 '빅뱅'이 벌어지고 있다. 진원지는 수목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이하 '우영우'). 지난달 29일 처음 방송된 후 0.9%에서 시작한 시청률은 7일 5.2%(닐슨코리아 기준)로 껑충 뛰어올랐다. 같은 요일 오후 9시 이후 방송된 지상파(KBS2 '징크스의 연인'·3.5%), 케이블(tvN '이브'·3.7%), 종합편성채널의 드라마(JTBC '인사이더'·2.9%) 통틀어 가장 높은 수치다. ENA는 KT그룹 계열사 skyTV가 운영하는 케이블 채널로 2003년 개국한 후 여러 이름을 거쳐 올해 4월 ENA로 명칭을 바꿨다. '우영우' 흥행은 skyTV 개국 이래 통틀어 최고 시청률. 2009년 불과 2%대 시청률로 출발한 오디션 프로그램 '슈퍼스타K'의 뜨거운 인기로 Mnet이란 채널을 알린 것과 비슷한 양상이다.
이번에 이변을 이끈 드라마 속 주인공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지닌 우영우(박은빈) 변호사.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뚫고 비장애인과 소통하려는 그의 대형 로펌 생존기가 '우영우' 신드롬이라 할 만한 폭발적인 반응을 끌어내는 모습이다. SNS에서는 "사촌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인이라 걱정이 컸는데 기우였다. 지나친 과장 없이 그린 점이 감사하다" "대학교에서보다 많은 걸 배운다" 등 드라마에 공감하는 글들이 쏟아지고 있다.
인간 승리는 없다... 진화하는 장애 서사
'우영우'처럼 장애인을 정면에 내세운 드라마가 없지 않았다. 발달장애인 정은혜씨가 출연해 울림을 준 '우리들의 블루스'가 5~6월 넷플릭스 비영어 드라마 세계 톱10에 줄곧 머물렀다. 자폐장애 진단을 받은 의사가 주인공인 한국 드라마 '굿닥터'의 미국판 리메이크도 시즌5까지 제작되며 미국 안방가에 잔잔한 감동을 선사했다. 한류의 한 지류에서 탄탄한 서사를 구축해오던 '장애인 드라마'가 '우영우'에 이르러 한류의 다양성과 가치를 빛내는 보석 같은 영역으로 우뚝 올라섰다는 평가도 나온다.
장애인의 삶을 다룬 드라마가 주목받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 ①다양성이 시대의 화두로 떠올랐고 ②약자를 통해 기득권의 공고한 유리천장을 보여줘 각성의 계기를 만들어주고 ③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겪은 고립의 불안과 소통에 대한 열망이 장애인 이야기에 공감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우영우'엔 장애인의 인간 승리가 부각되지 않는다. 드라마는 대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의 다름을 바라보면서 이해해나가는 과정에 집중한다. 우영우가 장애가 있으니 회사에서 특별히 배려하는 것은 이해하나 "본인이 하고 싶은 것만 딱 맡아서 하는 게 보기 불편하다"는 동료 변호사 민우(주종혁)의 언급처럼 드라마는 장애인에 대한 삐딱한 시선의 그늘도 담는다. 공희정 드라마 평론가는 "'말아톤'(2005) 등 옛 장애인 소재 콘텐츠는 인간 승리 신화를 그리거나 장애인 입장을 전적으로 대변해주는 것이 주를 이뤘다면, '우영우'는 다름을 받아들이는데 덜컹거리는 우리 사회의 모습을 중심으로 흘러간다"며 "장애인에게 벽을 친 사람들 그러니까 드라마에서 악역으로 나온 사람들이 자기성찰을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공존의 희망을 준다"고 인기 요인을 분석했다.
물론 비장애인 위주로 설계된 세상의 시스템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장애인 드라마의 장점도 잃은 것은 아니다. "회전문은 냉방과 보온에 유리합니다. 대신 통행량을 제한하고 이동 속도를 늦추며 어린이와 노약자는 이용하기 어렵습니다. 장점은 하나인데 단점은 세 개입니다. 건물주를 설득하면 회전문을 없앨 수 있지 않을까요?"(우영우)라는 대사처럼 장애인의 시선이 더 합리적일 수 있다는 점도 설득력 있게 그려낸다. 요컨대 드라마는 장애인을 일방적 우대의 대상이 아니라, 서로 다르지만 공존을 통해 함께 발전할 수 있는 주체로 그려내는 것이다.
"사회에 못 어울리나?" '꼰대사회' 반작용
장애인 서사가 보편적 공감을 얻는 데는 팬데믹으로 인해 커진 고립감과 소통의 불안과 무관하지 않다는 시각도 있다. 손석한 정신과 전문의는 "팬데믹으로 인해 관계의 결핍에다 관계 맺기의 어려움까지 커지면서 '내가 이 사회에 어울리지 못하는 건 아닌가'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며 "자폐 스펙트럼 장애인도 타인의 마음을 읽는데 어려움을 느끼는데, 장애인 드라마가 자신의 얘기처럼 다가와 몰입하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관심은 '꼰대사회'에 대한 반작용이란 해석도 나온다. 김헌식 카이스트 미래세대행복위원회 위원은 "자폐는 자기만의 세계가 극도로 심화한 형태"라며 "자기만의 세계가 어느 때보다 중요하게 여겨지는 데 반대로 약간의 심리적 자폐가 아니고서는 이 '꼰대사회'에서 살아남기 어려운 아이러니한 현실이 '우영우' 등에 더 호응하게 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K콘텐츠가 장애인과 세상의 관계를 다루는 방식에 대해서 해외의 관심도 뜨겁다. 주변인으로 소비됐던 이들이 한류 콘텐츠의 중심에 들어오면서 다양한 국적의 시청자를 불러 모으는 또 다른 원동력이 되는 모습이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인이라 밝힌 필리핀 남성 시청자(IM YourOnlyOne)는 해외 드라마 커뮤니티에 '우영우'가 자폐 장애인을 현실감 있게 그려냈다고 호평해 각국의 드라마 팬들로부터 큰 반향을 이끌었다. '우영우'는 일본과 홍콩, 인도네시아 등에서 넷플릭스 드라마 통틀어 1위(9일·플릭스패트롤 기준)를 달리고 있다.
그렇지만 아직 갈 길은 멀다. 김성수 문화평론가는 "성소수자보다 장애인이 세상에 훨씬 많을 텐데 그간 성소수자보다 장애 서사가 주류 미디어에서 더 배척된 경향이 짙다"며 "그만큼 장애가 누군가에게 민폐를 줄 수 있다는 폭력적 시선이 강했다는 반증으로 장애인 서사 드라마는 장애인이 우리 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이라는 점을 알리기 위해 더 적극적으로 제작돼야 한다"고 말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