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제2의 허준이' 가능할까… 입시 위주 수학계서 터져 나오는 자성

입력
2022.07.11 04:30
8면
구독

공교육·사교육계 모두 "입시를 위한 수학뿐"
"문제 풀이 암기만 해 원리와 과정 몰라"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겸 한국고등과학원 수학부 석학교수가 8일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로 입국하며 소감을 밝히고 있다. 뉴시스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겸 한국고등과학원 수학부 석학교수가 8일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로 입국하며 소감을 밝히고 있다. 뉴시스

국내에서 초중고교를 거쳐 석사학위까지 받은 허준이(39) 미국 프린스턴대 수학과 교수가 '수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즈상(Fields Medal)을 수상한 이후 한국 수학 교육을 두고 자성의 목소리가 쏟아지고 있다.

허 교수는 필즈상 수상 직후 화상으로 진행한 국내 언론과의 기자회견에서 수학의 매력으로 '협업의 즐거움'을 꼽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수학교육은 입시 위주여서 토론하고 원리를 이해하기보다 풀이법을 암기하는 데 그쳐 폭넓은 배움이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준열 건대부고 수학교사는 10일 한국일보와의 통화에서 "수능도, 내신시험도 문제 풀이 위주의 측정 방식이니 학생들이 수학을 배우는 목표는 결국 문제를 잘 풀기 위해서 아니냐"며 "점수를 잘 받기 위해 문제 풀이, 암기식 수업을 선호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평가 방식이 바뀌지 않는다면 교육 현실도 바뀌기 어렵다는 비판이다. 그는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이 도입된 이후 교육방식이 다소 변화하기는 했지만 수능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은 그 시간에 한 문제라도 더 풀려고 한다"면서 "대입 평가 방식이 달라져야 협업하고 토론하는 혁신적인 교육에 설득력이 생긴다"고 짚었다.

입시 위주 교육에 대한 비판은 사교육 현장에서도 다르지 않다. 고정민 이투스 수학강사는 우리나라 수학 교육 현실을 감안하면 허 교수가 필즈상을 수상한 건 의외라는 반응을 보였다. 그는 "우리는 대입을 위한 도구로 수학을 공부해서 수학적 원리 탐구보다 문제 풀이를 암기하는 식으로 배운다"며 "(대학 진학 후에도) 증명을 한다거나 무언가 깨닫고 원리를 탐구하는 게 익숙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 수학계가 발전하려면 수학을 좋아하는 사람이 많아져야 하는데, 공식을 외우고 문제를 푸는 데만 익숙해진 사람들은 수학에 흥미를 갖기 어렵다"며 "무작정 외우다보니 결과는 알지만 왜 이렇게 되는지 과정을 모르기도 한다. 적어도 과목 흐름이나 연계성, 그 원리가 생성되는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배워야 한다"고 쓴소리를 했다.

허 교수의 지도교수였던 김영훈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는 수학 영재교육의 허점을 꼬집었다. 현행 영재교육 시스템에선 진짜 영재를 못 알아볼 수 있다는 것이다. 고등학교 중퇴 이후 서울대에 입학한 허 교수도 학부를 졸업할 무렵에야 수학에 빠져들었다.

김 교수는 "우리의 영재교육 시스템은 허준이라는 사람을 놓치지 않았냐"며 "뛰어난 수학자들이 영재를 만나고 그들의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한슬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