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탄수화물 섭취, 비알코올성 지방간 위험 높여"

입력
2022.06.13 20:02
구독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탄수화물 위주로 식사를 계속하면 비알코올성 지방간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김원 서울시 보라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연구팀이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이 진단된 환자 129명과 정상 대조군 75명 등 204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다.

연구팀은 식이 섭취량에 따라 ‘고탄수화물 섭취군’과 ‘저탄수화물 섭취군’으로 나눈 후 탄수화물 섭취량에 따라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병 위험에 차이가 발생하는 지를 비교 분석했다.

연구팀은 그룹별로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병과 관련 있는 바이오마커의 체내 발현 수준을 비교하는 한편, 대상자들에게서 채집한 대변 샘플을 기반으로 탄수화물 섭취 정도에 따른 장내 미생물 환경 차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탄수화물이 하루 섭취 칼로리의 70% 이상 차지하는 고탄수화물 섭취군은 그렇지 않은 저탄수화물 섭취군에 비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발병할 위험이 유의하게 상승했다.

탄수화물 섭취와 간 손상 마커(ALT)와 상관관계는 고탄수화물 섭취군에서만 양의 상관관계가 확인됐으며, 이는 잠재적 혼란 변수를 조정한 후에도 통계적 유의성이 유지됐다(p=0.053).

탄수화물 섭취와 인슐린 저항성 바이오마커(HOMA-IR, adipo-IR) 사이의 연관성도 고탄수화물 섭취군에서만 유의했다.

또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가진 고탄수화물 섭취군은 조직학적 중증도가 상승함에 따라 염증 원인이 되는 장내 세균 발현이 증가한 반면, 간섬유화 진행을 막는데 도움되는 베일로넬라시에(Veillonellaceae), 루미노코카세(Ruminococcaceae) 박테리아가 장내에서 감소했다.

특히 비알코올성 지방간 진단을 위한 예측 모델에 이러한 3가지 미생물군을 추가하면 체질량지수(BMI)와 연령, 성별만을 이용할 때보다 예측 정확도가 12%가량 높아졌다(86.1% VS 74.3%),

연구팀은 이에 고탄수화물 섭취가 장내 미생물 다양성에 부정적인 변화를 일으켜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병 및 악화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판단했다.

교신 저자인 김원 교수는 “이번 연구로 탄수화물을 과다 섭취하면 장내 미생물군 변화로 인해 간 대사 기능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 중증도가 악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했다.

김 교수는 “고탄수화물 섭취는 인슐린 저항성을 높여 당뇨병 등 대사 질환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탄수화물ㆍ단백질ㆍ지방 등 영양소 균형이 잡힌 식단을 꾸준히 유지하는 것이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될 것”이라고 했다.

연구 결과는 마이크로바이옴 분야에서 세계적 권위를 가진 SCIE급 국제 학술지인 ‘장 미생물 저널(Gut Microbes)’에 지난 5월 실렸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