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찾은 박진, 대북억제와 경제안보 '쌍끌이'

입력
2022.06.13 19:30
구독

블링컨과 13일 첫 한미외교장관 회담
北 도발 대응 카드, 대화 메시지 주목
상무장관 면담 등 경제 행보 두드러져

박진 외교부 장관이 12일 오전 한미 외교장관 회담을 위해 인천공항에서 출국하기 전 취재진 질문을 받고 있다. 뉴스1

박진 외교부 장관이 12일 오전 한미 외교장관 회담을 위해 인천공항에서 출국하기 전 취재진 질문을 받고 있다. 뉴스1

대북억제와 경제안보.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박진 외교부 장관이 '쌍끌이'에 시동을 걸었다. 북한의 7차 핵실험 위협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첫 해외일정의 회담 상대로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을 택했다. 북한의 도발을 막고 공급망 협력 등 지난달 한미정상회담에서 확인한 양국 협력 의지를 얼마나 구체화할지가 관전 포인트다.

외교부에 따르면 박 장관은 12~15일(현지시간) 방미 기간 블링컨 장관과의 회담(13일)을 시작으로 지나 러몬도 상무장관, 제니퍼 그랜홈 에너지장관, 미 의회 지도부 등을 잇따라 만난다. 박 장관은 장관 후보자 신분이던 지난달 10일 윤석열 대통령 취임식 참석차 방한한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장관을 면담한 적은 있지만, 주요 외교 상대국 장관과 정식 회담장에서 마주 앉는 건 처음이다.

한미외교장관회담의 초점은 한반도 문제에 쏠려 있다. 북한 7차 핵실험이 언제냐에 달렸을 뿐 여전히 초읽기 상태이기 때문이다. 박 장관도 12일 워싱턴 한국 참전 기념비에 헌화한 뒤 기자 질문에 "준비는 끝났고 정치적 결단의 문제"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에 북한 핵 도발을 상정한 고강도 제재 수위에 관심이 쏠린다. 박 장관이 출국 전 독자 제재 가능성까지 언급한 만큼 기존 유엔 제재와 병행해 북한에 맞선 한미 공조 수위를 어느 정도로 끌어올릴지가 관건이다. 미 전략자산 전개를 비롯해 한미 정상이 필요성에 공감한 외교·국방 확장억제전략협의체(EDSCG)도 세부내용을 갖출 전망이다.

동시에 정부는 압박과 대화의 투트랙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아직은 북한이 핵 버튼을 누르지 않은 만큼 대화로 복귀할 가능성을 남겨놓기 위해서다. 박 장관이 미국 도착 후 "북한이 '강대강' 이런 얘기를 할 게 아니라 코로나19로 고통을 겪는 주민을 위한 정책을 펴야 한다"고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북한도 잠시 속도를 버는 모양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8~10일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핵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 이어 12일 당 비서국 회의에서도 '규율 강화'를 강조하며 내부 분위기 쇄신에 초점을 맞췄다. 외교 소식통은 "중국이 북한 도발 억제에 보다 적극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설득하면서 외교적 공간을 만들어주는 것도 과제"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박 장관의 경제안보 행보가 두드러진다. 상무장관, 에너지장관과의 연쇄 회동이 대표적이다. 한미 정상이 합의한 기술동맹, 공급망 협력 등 사안에 대한 로드맵을 짜는 데 집중할 전망이다. 초기 단계인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의 세부의제를 설정하고 참여국 규합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박 장관의 과제다.

경제안보 외교 채널 다각화 또한 방미 기간 주요 의제로 꼽힌다. 앞서 조태용 주미대사는 출국 전 "한미 정부가 제도화된 소통 채널을 만들어 경제안보에서 전략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의욕을 보였다.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에 포함된 한미 경제‧안보 2+2 고위급 회의도 구체화할 전망이다.




정준기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