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대? 당정국?... 회의 이름을 어찌하리오

입력
2022.06.12 16:00
구독

6월 29일 첫 '고위 당정대 회의' 개최

윤석열(왼쪽) 대통령이 10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민의힘 지도부와의 오찬 회동에서 우크라이나 방문을 마치고 돌아온 이준석 당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서재훈 기자

윤석열(왼쪽) 대통령이 10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민의힘 지도부와의 오찬 회동에서 우크라이나 방문을 마치고 돌아온 이준석 당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서재훈 기자

윤석열 정부의 첫 고위 당정대(당·정부·대통령실) 회의가 이달 말 열린다. 당과 정부, 대통령실의 소통 창구 역할을 하겠다는 취지의 여당 내 '민들레 모임'이 계파 정치 논란을 빚은 가운데, 공식 회의체인 고위 당정대 회의를 중심으로 당·정부 '원팀 행보'에 시동을 걸겠다는 것이다. 다만 대통령실이 청와대에서 나오면서 '당정청'으로 불렸던 회의명이 어떻게 변경될지는 정해지지 않았다.

12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 취임 후 첫 고위 당정대 회의는 이달 29일 열릴 예정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지금 의제와 참석 대상 등을 조율하고 있다"며 "민생 경제 등 다뤄야 할 내용이 많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에선 이준석 대표와 권성동 원내대표 등이, 정부에선 한덕수 국무총리와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이, 대통령실에선 김대기 비서실장과 이진복 정무수석, 최상목 경제수석 등이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

관건은 회의체의 명칭이다. 이전 정부까지는 대통령이 근무하는 공간인 청와대가 대통령실을 상징하는 단어로 쓰였기 때문에 '당정청 회의'란 표현이 통용됐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나왔고, 대통령실 공식 명칭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최종후보에 오른 △국민의집 △국민청사 △민음청사 △바른누리 △이태원로22 중 대통령실 이름이 결정된다면 기존 작명법에 따라 '당정국' '당정민' 등으로 불릴 가능성도 있다. 이준석 대표는 이날 언론 인터뷰에서 용산의 앞글자를 따 '당정용 회의'란 표현을 사용하기도 했다.

대통령실에선 대통령실을 뜻하는 앞글자를 아예 쓰지 않고 '고위 당정'이란 표현을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대통령이 정부 수반인 만큼 '정부' 외에 대통령실을 뜻하는 별도 표현이 필요하지 않다는 논리다. 매주 열리는 당정청 회의에 막강한 힘이 실렸던 문재인 정부와 달리, 대통령실의 힘을 빼겠다는 윤 대통령의 의지가 담긴 표현으로도 보인다.

당정대 회의가 정례화될지도 미정이다. 또 다른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은 형식을 미리 만들어놓기보다는 필요할 때 실시해 능률을 높이는 게 낫다고 본다"면서도 "참석자들의 일정을 맞출 필요가 있으니 정례화 가능성도 남아 있다"고 말했다.

손영하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