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대북 제재 반대한 중러, 안보 위협 안중에 없나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26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 발사에 대응하기 위해 표결에 부친 대북 추가제재 결의안이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채택되지 못했다. 2017년 12월 이후 4년 반 만에 논의된 이번 결의안은 지난 3월 북한의 ICBM 발사 이후 미국이 주도해 추진해왔다. 제재안은 연간 수입 가능한 북한의 유류 상한선을 지금보다 25% 줄이는 것을 비롯해 일부 광물연료 수출 금지, 해킹 및 군사기술 수출 등에 관여한 단체와 회사의 자산 동결 등을 담았다.
중국과 러시아의 제재 반대는 예상된 것이었다. 미국이 전략 경쟁을 선언하며 국제협력을 통해 중국 포위망을 강화하는 데 반발하는 중국은 이미 지난 3월 안보리 대응으로 가장 약한 조치인 언론성명 채택에도 반대했다. 러시아 역시 우크라이나 사태로 미국과 전면 대결 상황이다. 이날 부결 직후 두 나라는 "추가제재가 더 부정적인 효과와 긴장 고조를 부른다" "제재 강화는 소용없을 뿐 아니라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위험하다"고 주장했다.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는 그동안 두 나라가 북한의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발사에 맞선 안보리 제재에 소극적으로나마 찬성해왔다는 점에서 납득하기 어렵다. '대화'를 중시하는 중국도 북한의 도발에는 지금까지 "안보리 결의를 준수하고 정세를 악화시키는 모든 행동을 중지하라"고 요구해왔다. 이번 논의도 두 나라가 찬성한 기존 안보리 결의에 따른 것이다. 향후 핵실험까지 재개한다면 그때는 또 뭐라고 할지 궁금하다. 안보 위협에 대한 합당한 고려 없는 북한, 중국, 러시아의 눈먼 이익 동맹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결의안이 상임이사국 전체의 찬성을 얻진 못했지만 15개 전체 이사국 가운데 중국과 러시아를 제외한 모든 나라의 동의를 끌어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국제사회의 안전을 위협하는 명백한 도발 앞에서 상임이사국 지위를 앞세워 명분 없이 자국의 이해를 관철하거나 우호국을 비호하려는 시도는 결국 외교적 고립을 자초할 뿐임을 명심해야 한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