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한미 밀착에 中 반도체 보복?..."자살골 될 것"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방한 이후, 강화된 한미 양국 간 밀착 동맹은 한국의 최대 수출국인 중국으로부터 경제적 보복을 불러올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지난 2016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당시, 한국 기업에 노골적으로 꺼내든 보복성 조치에 대한 악몽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 수출의 최대 품목이자 미국과 경제 안보의 핵심인 반도체의 경우, 예상된 중국의 보복 조치에 대해선 현실성이 희박하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한국 반도체에 대한 타격은 중국 내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더 큰 역풍으로 돌아갈 것이란 관측에서다.
2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 4월 한국의 ICT 수출 가운데 대중국 비중은 43%(83억6,000만 달러)를 차지했다. 이 중 반도체는 57억7,000만 달러(약 7조3,000억 원)로, 전체 중국 ICT 수출의 69%에 달했다.
이에 중국이 국내 반도체 산업을 겨냥해 보복 조치를 취할 경우 우리 수출 전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시각도 있지만, 반도체 업계에선 "중국이 취할 카드가 없다"고 설명한다. 현재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가 중국에 판매 중인 대부분은 메모리반도체 제품인 D램과 낸드플래시인데, 두 제품 모두 양사의 점유율이 세계 1, 2위를 차지하고 있어서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매출 기준, 전 세계 D램 시장점유율에서 삼성전자는 42.3%를, SK하이닉스는 29.7%를 각각 확보했다. 양사의 점유율 합계가 72%로, 사실상 글로벌 D램 시장을 장악한 셈이다. 같은 기간 낸드플래시 역시 삼성전자가 33.1%를, SK하이닉스가 19.5%를 각각 기록했다. 양사의 점유율 합계가 절반 이상인 52.6%로, 절대적인 가운데 후발업체도 미국이나 일본 기업이다. 다시 말해, 중국이 미국의 반도체 동맹국을 제외하고선 D램이나 낸드플래시를 구하긴 어려운 형편이다.
이에 중국은 2015년부터 반도체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천문학적 투자를 단행했지만 높은 진입장벽 탓에 현재는 좌초된 상태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C인사이츠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중국의 반도체 자급률은 15.9%에 그쳤다. 이마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외국 기업의 현지 공장 생산분을 제외하면 6%에 불과하다.
게다가 중국 경제의 엔진인 정보기술(IT) 업계 역시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의 주요 고객사들로 구성됐다. 이들을 겨냥한 보복 조치는 오히려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얘기다. 실제 중국 스마트폰 업계의 대표 주자인 샤오미의 올해 1분기 매출은 반도체 수급난으로 733억5,000만 위안(약 13조9,000억 원)에 그쳤다. 2018년 7월 상장된 후, 공개된 첫 역성장 성적표다. 올해 1분기 샤오미의 순이익 역시 28억5,000만 위안(약 5,3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급감했다.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공장의 현지화도 중국이 꺼내들 것으로 점쳐진 보복성 조치 과정에선 걸림돌이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에 유일한 해외 메모리반도체 기지를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선 삼성전자 전체 낸드플래시의 40%가량이 생산된다. SK하이닉스도 중국 우시에서 D램 생산 공장을 운영 중이며, 중국 다롄에 낸드플래시 생산 라인을 추가 건설하고 있다.
김태기 단국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중국의 삼성전자 시안 공장은 시진핑 주석이 공을 들여 만들었던 것으로, 3연임을 앞두고 있는 시 주석 입장에서 현지 공장에 대해 보복 조치를 할 가능성은 낮다"며 "오히려 중국이 반도체에 보복을 가할 경우 중국 기업들이 타격을 입는 자살골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