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고위 당국자 "정상회담 주요 의제는 북한 문제"

입력
2022.05.21 13:20
구독

"바이든,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 약속 재확인
러시아의 우크라 침공 등도 의제에 오를 것"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일 경기 평택 삼성전자 캠퍼스에서 연 기자회견 도중 악수하고 있다. 평택=EPA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일 경기 평택 삼성전자 캠퍼스에서 연 기자회견 도중 악수하고 있다. 평택=EPA 연합뉴스


미국 고위 당국자가 21일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주요 의제는 북한 문제라고 공개했다. 북한과 선행조건 없이 대화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북한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도 대화 테이블에 오를 것이라고도 밝혔다.

당국자는 이날 백악관 기자단과 만나 “(북한에) 외교적으로 접근하는 길을 찾는 것이 우리의 매우 큰 바람”이라며 “우리는 선행조건 없이 그들과 대화할 준비가 됐고 코로나19를 포함한 북한 내부의 난관을 다루는 조처도 준비됐다”라고 말했다. 또 북한의 코로나19 상황이 매우 심각해 보인다고 우려하면서 “핵심은 결단해야 한다는 것인데, 북한이 (지원에 대한) 필요와 위기가 아주 큰 시기에 최대한으로 지원받을 수 있는 결정을 하기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약속을 재확인하고, 두 정상이 북한 핵·미사일 프로그램의 위협 대처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도 말했다. 당국자는 북한의 잇따른 도발과 관련한 질문엔 북한이 탄도미사일 시험을 포함해 일년 내내 상당히 잦은 무력시위를 벌였다고 지적하면서 윤석열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결의에 대한 각국의 완전한 이행 중요성을 확인하면서 정상회담에서 북한에 이 결의를 이행하라고 촉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한미 동맹의 미래가 안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혁신과 기술의 중요성을 반영하는 전략적, 경제적 기술 파트너십을 창출하는 것으로 정의될 것이라고 당국자는 밝혔다. 정상회담에서는 이외에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국 견제를 위한 미국의 구상인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공급망, 원자력 기술 협력, 기후 변화, 전염병 대유행, 자유롭고 안전한 인터넷 등 다양한 정상회담 의제가 오를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 당국자는 미국 대통령이 한국 새 정부 출범 10일 만에 방문한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라며 두 지도자간 강력한 관계를 형성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 새 행정부가 속도를 내려면 시간이 걸리고 11일만에 완전히 정착하길 기대하는 것은 비현실적임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도 윤 정부가 이룬 것이 인상 깊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좋을 때나 나쁠 때나 함께 했던 진정한 동맹이라는 윤 정부의 파트너십 정신, 한미관계와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역할에 대한 비전에 감명받았다고 거듭해 강조했다.

김진욱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