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단체장 후보 경선 이중투표 파장…'공정성' 도마에

입력
2022.05.11 13:11
수정
2022.05.11 14:44
구독

"권리당원 투표 후 안심번호 투표"
특정 후보 선택 유도 조사 의혹도
광주·전남 지역 곳곳서 증언 나와
민주, 경선 관리 일부 부실 인정
중복 사례 더 터져 나올 가능성도

더불어민주당 전남 함평군수 후보 경선에 참여한 김경자 예비후보가 권리당원 이중 투표를 권유하는 내용으로 지역민들에게 뿌린 휴대폰 문자메시지.

더불어민주당 전남 함평군수 후보 경선에 참여한 김경자 예비후보가 권리당원 이중 투표를 권유하는 내용으로 지역민들에게 뿌린 휴대폰 문자메시지.

6·1 지방선거에 나설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뽑는 경선 과정에서 권리당원 한 사람이 두 차례 투표를 했다는 증언이 나와 파장이 일고 있다. 민주당 경선이 마무리된 후 곳곳에서 이중 투표 논란이 불거지면서 "부정 경선 사례가 더 나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확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공직선거법상 이중 투표는 불법이다. 특히 일반 국민을 상대로 한 안심번호 선거인단 투표에선 특정 후보 선택을 유도하는 여론조사가 진행됐다는 의혹까지 불거져 경선 공정성과 신뢰성이 도마에 올랐다.

전남 구례에 거주하는 민주당원 A씨는 11일 한국일보와 통화에서 "지난달 28일 오후 3시 40분쯤 당비를 납부하는 '권리당원' 자격으로 투표를 한 뒤 다음날 낮 12시 30분쯤 일반 군민 자격으로 또 투표를 했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구례군수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을 지난달 28~29일 권리당원 선거인단 투표와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한 자동응답전화(ARS) 여론조사로 실시하고 이를 50%씩 합산한 방식으로 진행했다. 또 다른 민주당 권리당원 B씨도 "지난달 28일 구례군수 후보를 뽑는 권리당원 투표를 하고 이튿날에도 일반 군민 여론조사 전화가 걸려와 권리당원이 아니라고 하고 투표를 했다"고 말했다.

함평에선 민주당 함평군수 경선에 참여한 김경자 예비후보가 조직적으로 이중 투표를 권유한 정황이 드러나 선거관리위원회가 조사에 나섰다. 김 후보는 실제 '어제 투표 못한 권리당원은 1666-XXXX로 전화해서 김경자를 선택해 주십시오. 투표가 끝난 권리당원은 02-XXXX-XXXX로 오는 전화에 권리당원 ‘아니오’ 선택 후 김경자를 섵택해 주십시오'라는 내용의 휴대폰 문자메시지를 지역민에게 대량 전송했다. 민주당 전남 영암군수 후보 경선에선 우승희 예비후보 측의 권리당원 이중 투표 유도 의혹이 불거지면서 지난 7일 민주당 전 당원(100%) 투표 방식으로 재경선이 치러지기도 했다. 민주당이 기존 경선 결과를 배제하는 등 경선 관리의 일부 부실을 인정한 것이다.

문제는 이런 의도적 이중 투표에 대해 지역 정치권 일각에선 "공공연한 비밀이 아니냐"는 반응이 나와 이중 투표 사례가 추가 발견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이다. 민주당 광주지역 기초단체장 후보 측 관계자는 "경선 때 우리 후보를 지지하는 권리당원에게 모든 전화를 받아줘라고 당부했다"며 "이는 사실상 권리당원과 안심번호 선거인단 투표를 모두 하라는 의미로, 다른 후보 캠프도 사정은 비슷하다"고 귀띔했다.

민주당은 그동안 총선이나 지방선거 때마다 모바일 투표를 통한 경선 관리의 공정성을 강조해 왔지만 또다시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모바일 투표의 신뢰성에 타격을 입게 됐다. 더구나 이중 투표 의혹을 둘러싸고 민주당 중앙당 비상대책위원회가 선택적으로 재심을 인용하고 있다는 비판도 적지 않다. 민주당 구례군수 예비후보였던 C씨는 "안심번호 선거인단 여론조사 응답 과정에서 지지 후보를 선택했는데도 '후보를 선택하지 않았다'는 메시지가 계속 나왔고, 특정 후보를 선택하자 그때서야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사례가 있어 해당 녹음파일을 첨부해 이의신청을 했지만 중앙당은 아무런 설명도 없이 기각 결정만 통보했다"며 "이는 당이 결정한 데 대해 후보는 잔소리하지 말고 따르라는 구시대적 행태이자 갑질"이라고 비판했다.

안경호 기자
박경우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