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가정집, 사무실, 예배당… 두 개의 마당으로 사람이 모이는 집

입력
2022.05.06 04:30
수정
2022.05.06 08:28
11면
구독

편집자주

집은 ‘사고파는 것’이기 전에 ‘삶을 사는 곳’입니다. 집에 맞춘 삶을 살고 있지는 않나요? 삶에, 또한 사람에 맞춰 지은 전국의 집을 찾아 소개하는 기획을 금요일 격주로 <한국일보>에 연재합니다.

인천 서구 단독주택 '루하우스'의 정면. 두 개의 거대한 사선 벽이 도로를 향해 20도가량 열려 있다. 사선 벽은 외부 시선은 차단하면서 빛과 바깥 공기는 들이는 기능을 하는 동시에, 이 집만의 독특한 디자인을 완성한다. 신경섭 건축사진작가 제공

인천 서구 단독주택 '루하우스'의 정면. 두 개의 거대한 사선 벽이 도로를 향해 20도가량 열려 있다. 사선 벽은 외부 시선은 차단하면서 빛과 바깥 공기는 들이는 기능을 하는 동시에, 이 집만의 독특한 디자인을 완성한다. 신경섭 건축사진작가 제공

건물 전면의 외벽 두 개가 길을 향해 살짝 열려 있다. 건물 안의 인기척과 새어나오는 빛이 지나가는 사람의 호기심을 자아낸다. 인천 서구의 '루하우스(대지면적 266.5㎡, 연면적 199.73㎡)'는 반쯤 열린 집이다. 김범준(42), 김혜진(43) 부부와 초등학교 1학년 딸 김루빈양 세 식구가 이 집에 산다. 사람의 심리란 오묘해서 활짝 열려 있는 집보다, 굳게 닫혀 있는 집보다, 반쯤 열려 있으니 괜시레 더 기웃거리게 된다. 똑똑 두드리면 "어서 오세요"라며 마저 문을 열어줄 것만 같다.


사선으로된 외벽... 기능이 수반된 디자인

1층 서재와 주방의 모습. 평일 낮에는 남편이 운영하는 디자인 회사의 사무 공간으로 쓰인다. 신경섭 건축사진작가 제공

1층 서재와 주방의 모습. 평일 낮에는 남편이 운영하는 디자인 회사의 사무 공간으로 쓰인다. 신경섭 건축사진작가 제공

독특한 외관 디자인은 기능적인 필요에 의해 착안됐다. 건축가는 도로와 접해 있는 실내를 외부 시선으로부터 차단하면서도 창으로 빛과 바깥 공기를 받아들이고 싶었다. 여러 차례의 시뮬레이션 끝에, 약 20도 각도로 살짝 열린 사선 모양의 벽을 창 앞에 세우기로 했다. 설계를 맡은 최규호 큐제이 건축사사무소 소장은 "한국의 많은 건물이 길 쪽에 아예 창을 계획하지 않거나 창이 있어도 차면 시설로 가린다"며 "큰 창을 포기하지 않는 대신 벽으로 일정 부분을 가려 주었더니 공간이 훨씬 풍부해졌다"고 설명했다.

사선 벽은 이 집의 외관 디자인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해가 지면 사선 벽 안쪽에 달린 조명과 실내에서 나오는 빛이 건물을 은은히 감싼다. 집 자체가 하나의 커다란 디자인 조명처럼 보인다. 건축가는 "건축 입면에 드문 큼직한 사선을 써서 다른 집과의 차별성을 가지면서도 건축주가 귀가해 자기 집을 마주했을 때 시각적으로, 미학적으로 아름답기를 바랐다"고 말했다. 선 굵은 디자인에 마감재로 쓰인 밝은색 계열의 석재, 라임스톤이 더해져 집의 첫인상은 갤러리 같기도 하다. 모던한 집을 원했던 건축주도 "기능이 동반된 디자인이라 더 아름답다"며 처음 본 순간 마음에 들어 했다.

마당에서 바라본 1층 실내. 오른쪽이 서재, 가운데가 주방, 왼쪽이 거실이다. 신경섭 건축사진작가 제공

마당에서 바라본 1층 실내. 오른쪽이 서재, 가운데가 주방, 왼쪽이 거실이다. 신경섭 건축사진작가 제공

이 집은 가정집이면서 사무실이자 예배당으로 쓰인다. 1층은 마당을 기역(ㄱ)자로 둘러싸고 거실, 주방, 서재(사무실)가 있다. 2층은 방 3개와 욕실이 있다. 공용 공간인 1층의 용도가 주기적으로 바뀐다. 평일 낮에는 남편이 운영하는 디자인 회사의 사무실로, 일요일에는 가족이 몸담고 있는 커뮤니티 교회의 소그룹에서 예배드리는 장소가 된다.

40평대였던 당초 계획보다 집 규모가 커진 건 이런 이유에서다. 건축주는 "직장 동료, 성도, 지인, 우리 아이와 인연 있는 많은 사람들이 함께 모여 대화하고 교감하는 공간이 됐으면 했다"고 말했다. 그래서 집 이름도 아이 이름에 쓰인 한자(摟·끌어모을 루)를 따서 루하우스로 지었다. 사람을 끌어모으는 집이라는 뜻이다.

직접 꾸민 두 개의 마당... 2층에선 노천욕도

1층 거실의 모습. 60㎝의 단차를 두어 주방, 서재와 분리된 공간의 느낌을 주고자 했다. 정면 마당에 보이는 나무는 벚나무다. 신경섭 건축사진작가 제공

1층 거실의 모습. 60㎝의 단차를 두어 주방, 서재와 분리된 공간의 느낌을 주고자 했다. 정면 마당에 보이는 나무는 벚나무다. 신경섭 건축사진작가 제공

주방과 서재가 다용도로 쓰이는 점을 고려해, 거실은 60㎝의 단차를 두고 낮게 배치했다. 단차는 문, 벽과 달리 공간을 완전히 단절시키지 않고도 공간을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계단 앞 너비 1m의 벽도 거실을 주방과 서재의 번잡함으로부터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건축가는 "테이블이 놓인 주방이 아이가 학교 갔다 와서 간식을 먹으며 숙제를 하는 '작은 거실'이라면, 거실은 집안일이나 회사 일이 아직 안 끝났어도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조용한 거실'의 역할을 하길 바랐다"며 "다른 성격을 가진 두 개의 거실이 단차를 통해 연결되도록 했다"고 말했다.

욕실과 연결된 2층 테라스의 모습. 1, 2층 두 개의 마당 모두 조경업체의 손을 빌리지 않고, 건축주가 직접 꾸몄다. 1층에는 벚나무와 백일홍, 2층에는 수직정원, 라일락, 홍단풍 등을 심었다. 신경섭 건축사진작가 제공

욕실과 연결된 2층 테라스의 모습. 1, 2층 두 개의 마당 모두 조경업체의 손을 빌리지 않고, 건축주가 직접 꾸몄다. 1층에는 벚나무와 백일홍, 2층에는 수직정원, 라일락, 홍단풍 등을 심었다. 신경섭 건축사진작가 제공

집은 마당도 2개다. 16평 규모의 1층 마당은 1층의 주요 실과 모두 이어져 있는 공간의 구심점이다. 단독주택의 기쁨은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외부 공간에서 나오는 법. 아이가 마당에 놓인 트램펄린 위에서 폴짝폴짝 뛰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생기가 돋는다. 건축주는 1, 2층 두 개의 마당 모두 조경업체의 손을 빌리지 않고 직접 꾸몄다. 전국의 나무시장을 돌며 나무 종류와 모양을 손수 골랐다. 마당 중앙에는 아이의 태몽인 벚나무를 식재했다. 지난해 6월 완공된 집에서 맞이한 첫봄, 벚나무는 지난달 이 집에서 첫 꽃을 피워냈다. 가족은 올해 벚꽃 구경을 집 안에서 했다.

"벚나무가 몸살을 심하게 해서 걱정이 많았거든요. 돌보느라 애를 많이 썼어요. 그래서 꽃망울이 맺히고 꽃이 폈을 때, 마치 인큐베이터에 들어가 있던 루빈이 동생이 건강해진 모습을 보는 느낌이었죠. 너무 대견하고 감격적이었어요."

욕조 위에 난 천창은 목욕을 단순히 씻는 행위에서 즐거운 경험으로 바꾼다. 신경섭 건축사진작가 제공

욕조 위에 난 천창은 목욕을 단순히 씻는 행위에서 즐거운 경험으로 바꾼다. 신경섭 건축사진작가 제공

7평 남짓한 2층 테라스는 1층에 비해 좀 더 사적인 마당이다. 건축가가 주변 건물의 창문 위치를 계산해 벽을 세운 덕에 시선 간섭 없이 차를 마시고 브런치를 즐기는 외부 공간이 됐다. 특히 2층 테라스는 욕실과 연결돼 있어, 문을 열면 테라스의 빛과 공기를 욕실로 끌어들여 노천욕 하는 기분을 낼 수 있다. 욕조에 누웠을 때 시선이 닿는 곳에 자리한 가로 0.9m, 세로 2.6m 크기의 천창이 이런 기분을 한껏 돋운다.

생활 속 작은 감동을 주는 집

계단실 위에 길게 난 천창. 어두침침한 계단실을 밝히면서, 거주자가 실내서도 자연을 느낄 수 있게 만드는 장치다. 신경섭 건축사진작가 제공

계단실 위에 길게 난 천창. 어두침침한 계단실을 밝히면서, 거주자가 실내서도 자연을 느낄 수 있게 만드는 장치다. 신경섭 건축사진작가 제공

가족은 이 집이 두 번째 단독주택이다. 결혼해서 아파트에서만 살다 이 집으로 오기 전 경기 양주의 타운하우스에서 단독주택을 처음 경험했다. 2년간 살며 "아파트보다 주택에서의 삶이 아이의 경험을 더 풍성하게 해준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부부는 부모님 댁과 가까운 인천으로 이사해야 하는 상황이 되자, 주저 없이 다시 단독주택을 선택했다.

집 설계에는 이전 집에서 체득했던 주택살이 노하우가 곳곳에 반영됐다. 마당에는 양주 집에서 관리가 힘들었던 잔디 대신 덱을 깔았다. 이전에는 1층에 있었던 세탁실을 2층으로 올렸다. 매번 세탁물을 걷고, 개어서, 들고 계단을 오르내리는 수고로움을 덜기 위해서였다. 작은 창만 있었던 전과 달리 개수대가 마당을 바라보고 있게 만든 주방은 아내가 가장 좋아하는 공간이 됐다. 건축비는 약 4억8,000만 원(2021년 기준)이 소요됐다.

2층 안방. 가벽으로 침대와 드레스룸을 구분했다. 신경섭 건축사진작가 제공

2층 안방. 가벽으로 침대와 드레스룸을 구분했다. 신경섭 건축사진작가 제공


건축주 가족이 1, 2층 마당을 사용하는 모습. 건축주 제공

건축주 가족이 1, 2층 마당을 사용하는 모습. 건축주 제공

지난번 집에는 없던 천창도 계단실에 생겼다. 가로 1.5m, 세로 3m 크기의 천창은 어두침침한 계단실을, 날씨와 계절의 변화가 담긴 생동감 넘치는 공간으로 바꿔 주었다. 삶의 질을 높이는 작지만 중요한 차이다. 마당이 있는데 2층 방마다 작은 테라스를 둔 것도, 이런 작은 외부 공간 하나하나가 일상에서 경험하는 감각의 폭을 넓힌다고 생각해서다. 건축가는 "천창 하나만으로도 계단을 오르내리면서 하늘, 일몰, 비가 내리는 모습을 볼 수 있게 되고, 공간의 질이 달라진다"며 "좋은 집이란 건물의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오감을 통해 이런 작은 감동을 줄 수 있는 공간"이라고 말했다.






송옥진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