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윤석열 내각' 블랙홀 된 정호영, 여론은 '부적격' 판정 이미 내렸다?

입력
2022.04.19 20:30
5면
구독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의 ‘아빠 찬스’ 논란이 정권 교체기의 블랙홀이 되고 있다는 것이 19일 빅데이터 수치로 확인됐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이슈의 주인공이어야 하는 시기이지만,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선 정 후보자의 의혹이 더 많은 관심을 받았다. 문제는 그 관심이 주로 부정적 여론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의혹의 골자가 '금수저 자녀의 입시·병역 특혜'인 탓에 폭발력도 크다.

입시·병역 의혹은 못 참아? '윤석열'보다 '정호영' 언급 더 많았다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19일 오전 서대문구 국민연금공단 서울북부지역본부에 마련된 사무실로 출근하며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19일 오전 서대문구 국민연금공단 서울북부지역본부에 마련된 사무실로 출근하며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일보는 19일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썸트렌드’를 활용해 최근 트위터ㆍ인스타그램ㆍ블로그ㆍ포털 뉴스 페이지 등에서 ‘정호영’을 키워드로 언급량을 추출했다. 정 후보자 관련 언급량은 자녀의 의대 편입학과 병역 특혜 의혹이 본격적으로 제기되기 시작한 지난 16일 1만1,631건을 기록한 후 17일 1만6,966건, 18일 2만238건 등 연일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윤 당선인을 뛰어넘는 수준이다. 같은 기간 윤 당선인 관련 언급량(키워드 ‘윤석열’)은 16일 1만5,576건→17일 1만6,612건→18일 1만7,404건이었다. 17일은 정 후보자가 해명 기자회견을 열고 사퇴 가능성을 일축한 날이다. 논란 진화를 위해 직접 나선 것이지만, 윤 당선인을 이슈의 중심에서 밀어내는 역효과가 난 셈이다.

최근 다른 정치 이슈와 비교해도 정 후보자 ‘아빠 찬스’ 논란의 폭발력은 상당하다.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의 ‘김앤장 고문료 18억 원’ 논란이 한창이던 이달 5일 한 후보자 관련 언급량은 약 4,500건에 그쳤다. 더불어민주당이 추진하는 ‘검수완박’ 관련 언급량도 하루 평균 약 1만 건에 불과하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정 후보자 논란 때문에 민주당 입법 독주 이미지가 덜 부각되고 있다”고 했다.

정호영 언급의 80%는 '부정' 반응... "김혜경 '법카 의혹' 수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9일 서울 강북구 우이동 국립 4·19민주묘지에서 열린 제62주년 4·19혁명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9일 서울 강북구 우이동 국립 4·19민주묘지에서 열린 제62주년 4·19혁명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정 후보자에 대한 여론은 대체로 부정적이다. 썸트렌드에 따르면, 16~18일 정 후보자 언급 관련 ‘부정’ 감성 비율은 81.3%에 달한다. 대선 기간 이재명 전 민주당 대선후보 배우자 김혜경씨의 ‘법인카드 유용 의혹’이 불거졌을 당시 김씨에 대한 부정 감성 비율이 80% 수준이었다. 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소장은 “부정 비율이 80% 정도면 상당히 심각한 수준”이라며 “향후 여론이 바뀔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윤 당선인 측은 “국회 인사청문회서 판단해달라”며 정면돌파를 선언했지만, 여론은 정 후보자에 대해 이미 ‘부적격’ 판단을 내렸다는 것이다.

한 여론조사 전문가는 한국일보에 “국민들은 고위직의 자녀 입시ㆍ병역 특혜 논란을 수차례 목격해왔기에 의혹이 제기되면 경험적으로 ‘사실일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또 "윤 당선인 측이 얘기하는 '팩트'가 확인되기까진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만큼, 당분간은 여론의 ‘부적격’ 판단이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정 후보자 문제가 장기화하면 윤 당선인의 지지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고 지적한다. 배철호 리얼미터 수석전문연구위원은 “정 후보자의 도덕성과 관련한 부정적인 여론을 돌파하려면, 이를테면 '자타공인 연금 분야 최고 전문가’ 등과 같은 능력 서사라도 힘을 얻어야 하는데 그렇지도 못하다”며 “윤 당선인이 빨리 결단해야 한다”고 했다. 배종찬 소장도 “윤 당선인이 최대한 빠르게, 과감하게 정 후보자를 끊어내야 2030세대와 여성, 중도층의 이탈을 막을 수 있다”고 했다.

박준석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