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꽃구경은 남 일… 일상회복 두려운 비확진자·취약계층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17일 종료되는 등 '일상회복'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지만, 그럴수록 비확진자와 취약계층의 불안감은 커지는 양상이다. 주요 방역조치들이 차례로 해제되면서 감염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데다, 25일부터는 코로나19 감염병 등급이 1급에서 2급으로 하향 조정돼 환자 본인의 치료비 부담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20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공원에선 마스크를 내려 쓴 채 대화를 나누는 사람들이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비확진자는 이런 분위기가 편치 않다. 공원을 찾은 이모(34)씨는 "요즘 '턱스크'뿐 아니라 마스크를 아예 안 쓰는 사람도 적지 않다"며 "불편한 티를 내면 '유난 떤다'는 반응이 돌아오는데, (코로나에) 걸렸던 사람들은 별거 아니라지만 사람마다 증상이 다르니 안 걸려본 입장에선 겁이 난다"고 말했다.
실내에서도 상황은 비슷하다. 여의도 소재 직장에 다니는 최모(33)씨는 "사무실에서 비확진자는 나 하나뿐이고 마스크도 나만 쓰는 분위기"라며 "최근엔 음식점에도 사람들이 너무 많아져 잘 안 가게 된다"고 말했다. 최씨는 "비확진자가 오히려 격리되고 눈치보게 되는 느낌이라 우울하다"고 토로했다.
기저질환자도 살얼음판이다. 가족이 폐암을 앓고 있다는 윤모(45)씨는 "기저질환이 있으면 코로나19로 급격히 상황이 안 좋아질 수 있다고 해서 가족 모두가 조심해왔다"며 "주변에선 다같이 꽃구경 간다, 여행 간다 하면서 일상회복을 반기고 있지만 우리 가족은 불안한 마음뿐"이라고 말했다.
취약계층은 늘어날 치료비도 걱정이다. 질병관리청의 '코로나19 입원·격리(재택)치료비 지원업무 8판'에 따르면, 코로나19가 지금처럼 1급 감염병이면 정부가 △약값 △감염병관리료 △격리관리료 △혈액투석 비용 △항체치료제 비용 △1인용 격리실 입원료 등을 확진자에게 전액 지원한다. 하지만 2급 감염병이 되면 현행 국가 지원 체계는 이행기(4주) 동안에만 유지되다가 이후 건강보험과 환자 본인이 나눠 부담하는 체제로 바뀐다.
기초생활수급자로 일용직에 종사하는 50대 A씨는 "그동안은 코로나19에 걸려 3박 4일을 입원해도 몇 만 원밖에 안 나온다고 해서 별로 걱정을 안 했는데, 앞으로는 치료비 걱정에 아주 조심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건강보험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측은 "2급 감염병 전환에 따른 의료비 자부담분은 아직 구체적인 항목별 지침이 내려오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확진자 생계 지원책도 종료될 전망이라 취약계층은 더더욱 치료를 받기 힘든 환경이 조성될 거란 우려도 나온다. 정부는 코로나19가 2급 감염병으로 전환되면 1인당 10만 원(2인 이상 15만 원)이던 생활지원비, 유급휴가 지원금 등을 폐지할 방침이다. 아르바이트로 생활비를 충당하고 있다는 취업준비생 이모(26)씨는 "그나마 줄어든 생활지원비마저 아예 없어진다면 아파도 집에서 쉴 수 없을 것 같다"며 "일상회복이 반갑다는 것은 남의 말"이라고 말했다.
노혜련 숭실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코로나19가 취약계층에게 더 큰 타격이 됐듯이 일상회복 과정에서도 취약계층이 더 어려움에 처할 수 있다"며 "치료비·생계비 지원 등 취약계층을 위한 정책이 섬세하게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