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한일 역사 갈등, 공동연구로 풀어보자

입력
2022.04.01 04:30
25면
내년에 일선 학교에서 사용되는 것을 목표로 일본 문부과학성에 검정을 신청한 일본 고교 교과서에 한국 영토인 독도가 '다케시마'(竹島·일본이 주장하는 독도의 명칭)로 표기돼 있다. 연합뉴스

내년에 일선 학교에서 사용되는 것을 목표로 일본 문부과학성에 검정을 신청한 일본 고교 교과서에 한국 영토인 독도가 '다케시마'(竹島·일본이 주장하는 독도의 명칭)로 표기돼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29일 일본 고등학교 교과서 검정 결과가 발표됐다. 연례행사처럼 우리 정부는 주한일본대사관 관계자를 초치하여 항의했다. 이대로 간다면 내년에도 후년에도 똑같은 일이 반복될 것이다.

한일 간에 현안이 되고 있는 일본군 '위안부'와 강제동원 문제에 대한 일본 교과서 기술을 보면 양국 사이의 역사인식 차이는 점점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이번 검정에서 중시된 것은 학계의 연구 성과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가 아니라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견해를 반영했는지 여부였다. 이제 양국 정부 사이의 의견 대립이 교과서를 통해 미래세대로 확대 재생산되는 단계로 넘어갔다고 할 수 있다.

강제동원 대법원 판결에 따른 일본 기업 자산 현금화 문제와 일본군 '위안부' 한일합의 후속조치 문제 등은 한일 양국이 정치적 해법을 찾아 일단락 지을 수도 있다. 만약 정치적 해법을 찾지 못한다면 법적 절차에 따라 일단락될 것이다. 하지만 미래세대를 포함한 양 국민 사이의 인식 차이가 점점 더 벌어진다면 문제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다시 폭발할지 모른다.

이웃나라와 역사인식 차이와 영토 문제로 대립하고 있으나 경제적 관계가 깊어지는 상황에서 안전보장과 환경 등 폭넓은 분야에서 협력관계를 확립해야 한다는 생각에는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것이다. 이 생각은 이번에 검정을 통과한 일본 교과서에 기술된 문장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협력관계를 확립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까?

지금까지 역사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추진되었던 것 가운데 하나가 공동연구다. 한일 양국 정부는 2001년부터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를 만들어 두 차례에 걸쳐 공동연구를 했다. 민간 차원에서도 다양한 공동연구가 진행되었다.

공동 역사연구는 교과서 문제를 비롯한 한일 간의 역사 갈등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도깨비 방망이가 아니다. 그런데 과거에는 공동연구를 도깨비 방망이로 착각하여 과도한 기대를 한 탓에 그 성과에 실망하기도 했다. 그 결과 공동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동력을 상실했다.

역사 공동연구는 협력과 대화의 관행을 축적해나가는 과정이다. 따라서 여러 시행착오를 겪을 수도 있다. 눈에 보이는 단기적인 성과를 요구해서도 안 된다. 안이하게 중립적인 합의를 이끌어내기보다는 먼저 차이를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 차이가 왜 생기는지를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한일이 역사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동연구를 추진하려면 먼저 이 연구를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보장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안정적인 기반 위에서 상호 이해의 폭을 넓혀 나간다면 양국의 역사인식 차이도 줄어들 것이다.




남상구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정책실장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