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어짜는 듯한 가슴 통증'…협심증과 심근경색 차이는?

입력
2022.03.19 05:20
구독

협심증, 빨리 걷거나 뛰고 계단·언덕 오를 때 주로 증상 발생
심근경색, 안 움직여도 극심한 흉통 발생하고 1시간
넘게 지속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는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혈관이 수축한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심장 질환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

심장 질환은 암에 이어 국내 사망 원인 2위다. 대표적인 심장 질환은 협심증과 심근경색이다.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 심장에 혈액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해 생긴다.

심장 근육으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을 관상동맥(冠狀動脈)이라고 한다. 관상동맥은 크게 세 가닥이 있는데, 관상동맥이 여러 가지 이유로 좁아지거나 갑자기 수축되어 심장근육에 충분한 혈액과 산소가 공급되지 않는 협착이 만성으로 진행되면 협심증, 급성이면 심근경색으로 구분한다.

협심증은 일상 생활보다는 빨리 걷거나 뛰고, 계단이나 언덕을 오를 때, 스트레스나 정서적으로 불안할 때, 무거운 것을 드는 등의 활동할 때 주로 증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이 심장 근육에 더 많은 산소와 혈액 공급이 필요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협심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가슴 한 가운데 혹은 왼쪽에서 발생하는 가슴 통증이다. 주로 호소하는 증상은 ‘쥐어짜는 것 같다’ ‘뻐근하다’ ‘죄는 것 같다’ ‘무거운 것으로 눌리는 것 같다’ ‘답답하다’ ‘터질 것 같다’ 등이다.

가슴 통증이 발생할 때 왼쪽 팔, 목, 턱 또는 등으로 통증이 퍼져나갈 수 있다. 이는 협심증일 때 전형적으로 볼 수 있는 통증 패턴으로 이를 방사통(放射痛ㆍradiating pain)이라 한다. 하지만 20~30%에서는 이러한 전형적인 가슴 통증이 생기지 않고 속 쓰림, 구역질, 복통 등의 증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의 완전 폐색으로 인해 심장으로 혈액 공급이 되지 않아 심장 근육이 죽는 병이다. 운동할 때 주로 가슴 통증이 발생하는 협심증과 달리 안정 시에도 극심한 통증이 발생하며, 통증이 한 시간 이상 지속되어 응급실을 통해 병원에 내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김광실 인제대 상계백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심근경색으로 인한 가슴 통증은 응급 진료 및 처치가 빨리 이뤄지지 않으면 돌연사할 위험이 높고, 막힌 혈관을 빨리 뚫어주지 않으면 심장근육이 영구적으로 손상된 채로 후유증이 남는 무서운 질환”이라며 “심근경색이 의심되면 12시간 이내 병원을 방문해 적절한 치료를 받을 것을 권고하고 있다”고 했다.

협심증 치료는 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선택될 수 있다. 병의 정도가 경미하다면 약물로 치료가 가능하고, 약물로 증상 조절이 되지 않는다면 관상동맥 중재시술이나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관상동맥 중재시술은 관상동맥 조영술에서 발견된 협착 부위에 혈관성형풍선을 넣어 부풀려 좁아진 부분을 넓혀주고 재협착 방지를 위한 스텐트를 삽입해 영구적으로 혈관을 확장하는 치료법이다. 약물 치료만으로 증상ㆍ질병 개선이 어려운 중증 협심증 환자에서 효과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1차 표준 치료법이다.

협착이 너무 심하거나 병변이 다발성이고 매우 길다면 관상동맥 중재시술 같은 혈관성형술이 어려울 수 있으며, 이럴 때에는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관상동맥 우회로술은 자신의 다른 혈관이나 인공 혈관을 이용해 협착 부위 아래쪽으로 연결시키는 치료법이며, 효과는 관상동맥 중재시술과 비슷하며 재발률이 비교적 낮다.

김광실 교수는 “시술 및 수술을 받았다고 하여 치료가 끝나는 것이 아니고 병 진행을 막기 위해 혈압 관리, 당뇨병 관리, 금연,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 개선을 위한 생활 습관 관리와 약물 치료 등을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고 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