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60만' 찍은 오미크론 정점 ... 유행 더 길어진다

입력
2022.03.17 17:50
2면
구독

①신속항원 확진에 '숨은 감염자' 드러나고
②대선 ③스텔스오미크론 ④방역완화 겹쳐
'정점 높이' 올라가 '정점 구간' 더 길어질 듯

17일 오후 서울 송파구 잠실종합운동장 선별진료소 검체실 앞에서 관계자가 이날 발표된 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 수를 휴대폰 화면에 띄워놓고 있다. 배우한 기자

17일 오후 서울 송파구 잠실종합운동장 선별진료소 검체실 앞에서 관계자가 이날 발표된 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 수를 휴대폰 화면에 띄워놓고 있다. 배우한 기자

62만1,328명.

17일 방역당국이 발표한 0시 기준 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 수다. 일평균 37만 명 수준이라던 정부의 '오미크론 정점' 예측을 훌쩍 뛰어넘었다. 그간 정부는 "37만 명 수준에서 2주 정도 버텨내자"는 메시지를 반복해왔다. 정점이 훌쩍 올라감에 따라 '2주간 버티자'는 말도 허망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젠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한탄까지 나온다. 훨씬 더 두텁고 길어질 '오미크론 정점 이후'까지 염두에 두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확진자 16일은 47만, 17일은 55만

물론 62만1,328명에는 확진자 집계 시스템 오류로 누락된 전날 확진자 약 7만 명이 포함돼 있다. 이를 감안하면 전날인 16일 0시 기준 확진자는 47만여 명, 이날은 55만여 명인 셈이다. 그렇다 해도 하루 사이 확진자가 약 8만 명이나 불어났다. 방역당국도 “정점 시기로 진입하는 중”이라고 진단했다. 앞으로 확진자가 더 불어날 걸 감안하면 '하루 60만'이 괜한 수치가 아니라는 얘기다.

이는 예상보다 큰 수치여서, 오미크론 정점 규모 자체도 더 커질 가능성이 높다. 당초 당국이 예측한 정점의 일평균 확진자 규모는 31만6,000~37만2,000명이다. 이날 확진자 수와 비교하면 차이가 크다. 11~17일의 주간 일평균 38만7,286명과 비교해 봐도 정점 예측치를 이미 넘어섰다.

방역 불확실성에 유행 예측 어긋나

확진자 폭증 이유로 전문가들은 우선 검사체계 변경을 꼽았다. 병·의원 신속항원검사 양성도 확진으로 인정하기 시작하면서 PCR 검사만으로 찾지 못했던 ‘숨은 감염자’들이 대거 확인되고 있다는 것이다. "유행 규모 판단에 검사방법은 고려대상이 아니다"라던 방역당국은 이날 “신속항원검사 확진 인정에 따른 검사 편의성 증가로 그간 검사가 어려웠던 분들이 적극 검사에 참여해 발견율이 높아졌다”고 말을 바꿨다.

대선 영향도 배제할 수 없다. 최재욱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선거운동 기간 동안 모임과 식사가 늘어 감염에 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변형 오미크론인 이른바 ‘스텔스 오미크론(BA.2)’ 점유율이 지난달 17.3%에서 이달 26.3%로 증가한 영향도 있다. 스텔스 오미크론은 기존 오미크론보다 전파력이 30% 높다고 알려졌는데, 그간 국내 유행 예측에는 거의 고려되지 않았다.

17일 오전 서울 송파구청 상황실에서 직원들이 최근 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 수 추이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17일 오전 서울 송파구청 상황실에서 직원들이 최근 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 수 추이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유행 양상을 분석하는 한 연구자는 방역 정책의 불확실성이 예측 정확도까지 낮췄다고 평가했다. 방역 정책이 자주 바뀌었고, 그에 따라 정책에 따르지 않는 사람이 늘면서 유행 예측에 실패했다는 것이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도 “정부가 방역 상황을 계속 바꾼 탓에 모델링 예측이 거의 불가능해졌다”며 답답해 했다.

23일 이후 감소? "최소 이달 말까지 확산"

이 때문에 "23일쯤이면 감소세로 전환할 것"이라던 방역당국 예측에도 물음표가 붙기 시작했다. “숨은 감염자를 빨리 찾아내고, 면역도 빨리 형성되고 있으니 정점 지속기간이 길어지진 않을 것”이란 시각이 있는가 하면, “규모가 커지고 있어 정점 기간이 이달 마지막까지 이어질 것”이란 의견도 있다. 이상원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은 “정점 구간이 다소 길게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정점 구간이 높고 길어지면, 정점 이후에도 대규모 확진자가 쏟아질 수밖에 없다. 확진자 수가 뚝 떨어지기보다는 완만한 감소세를 이어간다는 얘기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중환자 수가 정점으로 올라갈 땐 작은 변화가 큰 피해를 줄 수 있다”며 "방역 완화엔 신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나친 공포와 불안을 줄일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있다. 김윤 서울대 의대 의료관리학교실 교수는 “사망자 중 코로나가 직접적인 원인이 된 경우와 기저질환으로 숨진 경우를 구분해서 발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임소형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