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대응 '서울대병원 모델' 확산시킨다

입력
2022.03.10 19:00
16면
구독

입원 중 확진 환자는 일반 병동서 치료
서울대병원 이어 서울아산병원도 시작
감염 위험 증가… 의료진 불안감도 감지

서울대병원과 서울아산병원이 코로나19 확진자를 음압격리 병동이 아닌 일반 병동에서 치료하기 시작했다. 코로나19 중증·준중증 병상이 포화 상태에 다다른 데 따른 선택이다. 의료계에선 치료 체계 전환이 불가피함을 인정하면서도 의료진의 감염 가능성이 높아질 것을 우려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다인실엔 확진 환자 최대 4명까지

10일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이 병원에서 코로나19로 확진된 입원 환자는 음압격리 병동으로 옮겨가지 않고 원래 있던 병동에서 기존 질환과 코로나19 치료를 모두 받는다. 예를 들어 골절 수술을 받은 환자가 입원 중 코로나19에 감염되면 병동과 주치의는 그대로 정형외과로 유지된 채 감염내과나 호흡기내과 의료진이 오가며 협진하는 식이다. 단 코로나19 증상이 없거나 약해야 한다.

서울대병원은 이를 위해 확진자의 일반 병동 배치 기준을 별도로 마련했다. 코로나19로 확진된 환자가 1인실이나 2인실에 입원해 있다면 그방 자체가 격리실이 된다. 6인실에 입원한 환자 중 일부만 확진됐다면, 확진되지 않은 환자는 다른 방으로 옮긴다. 다인실에는 확진자를 최대 4명까지만 입원시킨다. 확진자가 있는 병실 앞엔 출입통제 표시를 붙이고, 병실 안엔 보호구를 입고 벗을 수 있는 공간을 구분해 놓는다.

서울대병원 일반 병동 내에 코로나19 확진자가 입원해 있는 병실 입구(왼쪽 사진)와 내부(오른쪽). 입구에는 문 앞 바닥에 출입을 제한하는 빨간색 경고 표시가 붙어 있다. 병실 안 노란색 선까지는 의료진이 보호구를 벗는 공간이다. 보건복지부 제공

서울대병원 일반 병동 내에 코로나19 확진자가 입원해 있는 병실 입구(왼쪽 사진)와 내부(오른쪽). 입구에는 문 앞 바닥에 출입을 제한하는 빨간색 경고 표시가 붙어 있다. 병실 안 노란색 선까지는 의료진이 보호구를 벗는 공간이다. 보건복지부 제공

확진 환자 병실에 들어가는 의료진은 4종 보호구(마스크, 얼굴가리개, 전신가운, 장갑)를 착용하고, 나올 땐 벗어야 한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완료한 보호자는 입원 환자가 격리되는 기간 동안 함께 격리될 수 있다.

아산병원, 이동식 음압기도 동원

서울대병원이 이 같은 체계를 도입한 이유는 오미크론 변이가 급속도로 확산하면서 다른 질병 때문에 입원했다 코로나19에 확진되는 환자가 늘어나서다. 코로나19 확진자라고 모두 음압격리 병동으로 옮기면, 코로나 병상도 턱없이 부족해지는 데다 환자 입장에서는 기존 질환 치료가 어려워지면서 상태가 되레 나빠질 위험이 있다. 서울대병원 관계자는 “평소 질환 때문에 퇴원이나 전원, 이동이 어려운 무증상 또는 경증 확진자를 일반 병동 입원실에 격리해 치료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아산병원도 이날부터 전환에 동참했다. 다만 아직은 격리 병상 이동을 원칙으로 하되, 병상 부족으로 잠시 대기해야 하는 환자만 일반 병실에서 치료하기로 했다. 아산병원 관계자는 “코로나 중증, 준중증 병상이 90% 이상 차다보니 자리가 나길 기다리는 경우가 생긴다”며 “병상이 확보될 때까지 입원 병동의 1인실이나 이동식 음압기가 설치된 병실에서 치료받게 된다”고 했다.

2월 8일 문을 연 서울 송파구 풍납동 서울아산병원 감염관리센터에서 의료진이 음압격리 병동 운영을 준비하고 있다. 공동취재단

2월 8일 문을 연 서울 송파구 풍납동 서울아산병원 감염관리센터에서 의료진이 음압격리 병동 운영을 준비하고 있다. 공동취재단

방역당국은 결국 대부분의 병원들이 코로나19 환자를 일반 병동에서 치료하는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박향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격리 병동에 있으면 기저질환 관리가 아무래도 덜 될 수밖에 없다”며 “확진자의 일반 병동 치료는 상급종합병원에만 해당되는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중소병원급으로도 확대해야 한다는 의미다.

“치료제 처방 확대 전제돼야”

하지만 이렇게 전환한 병원은 아직 드물다. 한 상급종합병원 관계자는 “같은 병동에 확진자가 있다는 걸 다른 환자들이 받아들일 수 있을지, 의료진의 방역 수준은 어느 정도로 유지해야 할지 논의해봐야 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또 다른 상급종합병원 관계자는 “코로나19 감염에 노출될 위험이 더 높아진다는 점에서 의료인들의 불안감이 적지 않다”고 귀띔했다.

전문가들은 치료 체계 전환이 원내 감염 확대로 이어지지 않으려면 입원 환자가 확진됐을 때 치료제를 신속하게 쓸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종합병원에서도 신속항원검사 양성이면 항체치료제나 먹는 치료제를 바로 처방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고 제안했다.

임소형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