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 여성은 이재명에, 2030 남성은 윤석열에 쏠렸다

입력
2022.03.09 23:30
구독

제20대 대통령선거 투표가 끝난 9일 오후 서울 용산구 롯데하이마트 용산아이파크몰점에 진열된 TV에서 출구조사 결과가 방영되고 있다. 뉴시스

제20대 대통령선거 투표가 끝난 9일 오후 서울 용산구 롯데하이마트 용산아이파크몰점에 진열된 TV에서 출구조사 결과가 방영되고 있다. 뉴시스

9일 오후 7시 30분 투표 종료와 함께 발표된 지상파 방송 3사(KBS·MBC·SBS) 출구조사 결과는 예상대로 '역대급 초박빙 대선'이라는 예측을 재확인했다. 다만 선거 막판 최대 부동층으로 꼽혔던 2030세대 여성, 수도권에서는 '깜깜이 선거' 이전(이달 2일 이전 실시) 조사와 비교할 때 큰 폭의 변화를 보이면서 최종 결과에 대한 예측불확실성을 키웠다.

방송 3사 출구조사 결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47.8%,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는 48.4%를 득표할 것으로 예측됐다. 종합편성채널 JTBC의 출구조사에서는 이 후보가 48.4%, 윤 후보는 47.7%를 득표할 것으로 예상했다. 깜깜이 선거 기간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윤 후보가 이 후보를 앞선 조사 결과를 감안하면, 다소 예상 외의 결과였다.

두 후보의 안갯속 혼전의 요인은 최대 승부처인 수도권에서 어느 후보도 압도적 우위를 차지하지 못한 점이다. 선거 과정에서 '젠더 이슈'가 부상하면서 20대 남성과 20대 여성의 표심이 총결집할 것이라는 예상은 맞아떨어졌다. 다만 20대 여성들이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가 아닌 이 후보의 지지로 쏠리면서 승부의 균형추로 작용했다. 방송 3사 출구조사에서는 60대 이상 장년층 여성을 제외한 전 연령의 여성 표심이 이 후보를 지지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2050 여성, '남성 노골적 구애' 尹 외면했다

방송 3사 성별·세대별 출구조사. 그래픽=신동준 기자

방송 3사 성별·세대별 출구조사. 그래픽=신동준 기자

성별 표심은 뚜렷하게 갈렸다. 윤 후보가 선거운동 과정에서 여성가족부 폐지와 무고죄 처벌 강화 등 젊은 남성을 겨냥한 정책을 적극 선보였고, "구조적 성 차별은 없다"는 발언도 여성 표심의 반발을 샀다.

이 후보의 젊은 남성을 타깃으로 한 전략은 절반의 성공이었다. 20대 이하 남성에서 윤 후보는 58.7%의 압도적 지지로 이 후보(36.3%)를 따돌렸다. 30대 남성에서도 윤 후보는 52.8%를 얻어 42.6%에 그친 이 후보를 앞섰다.

역효과는 이를 뛰어넘었다. 20대 여성에서 이 후보가 58.0%로, 윤 후보(33.8%)를 24.2%포인트 차로 따돌렸다. 40대 여성에선 이 후보가 60.0%를 기록해 윤 후보(35.6%)를 24.4%포인트 차로 앞섰다. 60대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대의 여성 표심이 이 후보를 택했다. 두 후보 사이에서 막판까지 고민하던 여성들이 '노골적인 남성 구애' 전략을 편 윤 후보 대신 이 후보를 대안으로 선택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연령별로는 예상대로 윤 후보는 60대 이상에서, 이 후보는 전통적인 콘크리트 지지층은 40대와 50대에서 우세했다.

수도권 접전... 尹은 서울, 李는 경기·인천 앞서

그래픽=송정근 기자

그래픽=송정근 기자

지역별 투표 현상은 이번에도 나타났다. 방송 3사 출구조사 결과, 전국 16개 광역시·도 중 윤 후보는 서울을 포함한 10곳에서, 이 후보는 '정치적 안방'인 경기를 포함해 6곳에서 각각 득표율 1위를 기록했다.

득표율을 자세히 따지면 윤 후보가 유리한 고지에 올랐다고 속단할 수 없다. 전체 유권자 절반이 몰려 있는 수도권에서 윤 후보는 50.6%를 기록한 서울에서만 근소하게 이 후보(45.4%)를 앞섰다. 반면 경기와 인천에선 이 후보가 각각 50.8%와 49.6%를 기록해, 45.9%와 45.6%로 집계된 윤 후보를 앞섰다. 이는 지난달 28일~이달 2일 실시된 한국갤럽 여론조사 결과, 서울과 인천·경기에서 윤 후보가 41%와 40%, 이 후보의 34%와 36%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이 후보의 안방인 인천·경기에서 막판 결집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정치권에선 집값 폭등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은 수도권 표심이 윤 후보 쪽으로 쏠릴 것이란 전망이 많았다. 실제 지난해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가 박영선 민주당 후보를 17%포인트 차이로 여유롭게 따돌린 것을 감안하면, 11개월 만에 지지율이 크게 좁혀진 것이다.

이 후보가 수도권에서 예상 밖의 선전을 한 것은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실정에 대한 거듭된 사과와 파격적인 주택 공급 확대 공약이 성난 부동산 민심을 어느 정도 누그러뜨리는 데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해석된다.

'캐스팅보터'로 꼽히는 충청에서도 두 후보의 예상 득표율은 가깝게 붙어 있었다. 충북에선 윤 후보(50.3%)가 이 후보(45%)를 5.3%포인트 차로 앞섰지만, 대전과 충남에서 두 후보 격차는 오차범위 내였다.

위기감 커진 호남, 李로 결집

윤 후보는 전통적 보수 텃밭인 대구와 경북에서 각각 72.7%, 72.1%를 얻어 24%, 24.6%를 얻은 이 후보를 크게 따돌렸다. 그러나 사실상 양자 구도로 치러졌던 2012년 대선 당시 박근혜 전 대통령이 80%를 넘는 득표율을 기록한 점을 감안하면, 압도적 승리라고 보긴 어렵다. TK 민심이 경북 안동 출신인 이 후보를 냉정하게 외면하진 않은 셈이다.

반면 호남에서 30% 득표를 호언했던 윤 후보는 광주와 전북, 전남 모두 10% 초반의 지지를 얻는 데 그쳤다. 선거 막판 전격적으로 이뤄진 야권 단일화로 위기감이 커진 민주당 지지층이 이 후보로 강하게 결집한 결과란 해석이 나온다.




이서희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