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호감 대선' 무색케 한 사전투표 열기... 첫날 17.57%로 역대 최고치

입력
2022.03.04 22:00
수정
2022.03.04 22:51
1면
구독

여야, 적극 독려 속 아전인수격 해석

이재명(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가 제20대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 첫날인 4일 오전 각자 사전투표를 하고 있는 모습. 뉴스1

이재명(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가 제20대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 첫날인 4일 오전 각자 사전투표를 하고 있는 모습. 뉴스1

'역대급 비호감 대선'이라는 평가에도 제20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열기는 어느 때보다 뜨거웠다. 사전투표 첫날인 4일 전국 평균투표율은 17.57% 기록해 2017년 대선 1일차 사전투표율(11.70%) 대비 5.87%포인트 상승했다. 이러한 흐름이 이어진다면 5일까지의 최종 사전투표율은 사전투표 도입 후 최고치인 2020년 총선(26.69%)을 뛰어넘어 30% 안팎을 기록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유권자들의 뜨거운 관심은 막판까지 초박빙으로 흐르고 있는 판세와 야권 단일화 등에 따른 진영 결집의 영향이 크다. 여야는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내놓으면서도 유불리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첫날 기준 역대 최고... 전남 높고 경기 낮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까지 전국 유권자 4,419만7,692명 가운데 776만7,735명이 사전투표에 참여, 투표율 17.57%를 기록했다. 사전투표 첫날 집계 기준으로 2017년 대선(11.70%)뿐 아니라 역대 최고치인 2020년 총선(12.14%)보다 높았다.

지역별로는 전남이 28.11%가 가장 높았고, 전북(25.54%), 광주(24.09%) 순이었다. 가장 낮은 곳은 경기 15.12%였고, 대구(15.43%), 인천(15.56%) 순이었다.

19대·20대 대선 사전투표율(첫날) 비교

19대·20대 대선 사전투표율(첫날) 비교


초박빙 승부로 진영 결집 뚜렷

이번 대선에서 사전투표 상승은 예견됐다. 중앙선관위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4일 발표한 '유권자 의식조사' 결과, "사전투표를 하겠다"는 응답자는 30.8%로 2017년 대선보다 9.9%포인트 높았다. 사전투표가 일종의 선거문화의 하나로 자리매김한 영향도 크다. 2020년 총선 당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투표율 하락이 예상됐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역대 가장 높은 사전투표율을 기록한 바 있다.

여야가 경쟁적으로 지지층을 대상으로 사전투표를 격려한 것도 투표율 상승으로 이어졌다. 여론조사 공표가 금지된 '깜깜이' 기간에 돌입했음에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초박빙 승부를 벌이고 있는 상황이 진영 결집을 부른 것이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비호감 대선'이라서 투표소에 가기 싫다는 유권자도 있지만, 양강 후보가 막판까지 경쟁하면서 투표심리를 크게 자극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깨진 '높은 투표율=진보 유리' 통념

높은 사전투표율이 어느 쪽에 유리하게 작용할지를 두고선 의견이 분분하다. 그동안 '사전투표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진보진영이 유리하다'는 게 통념이었다. 상대적으로 보수화하지 않은 젊은층이 본투표일에 쉬기 위해서 사전투표를 선호한다는 논리다.

그러나 이번 대선에서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것이란 견해가 적지 않다. 최근 여론조사 지표를 볼 때 2030세대가 진보진영 후보에 더 많은 지지를 보내는 현상이 뚜렷하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20대 남성의 경우 윤석열 후보에 대한 지지가 이재명 후보에 대한 지지를 압도하고 있다. 보수 성향이 강한 60대 이상도 적극적인 투표 성향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4·7 재·보궐선거는 최종 사전투표율이 20.54%로 재·보선투표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결과는 민주당의 참패였다. '높은 사전투표율=민주당 승리'라는 공식이 깨진 대표적 사례다.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통념처럼 높은 사전투표율이 진보 진영에 유리하다고 보긴 어렵다"며 "이번엔 정부에 불만이 많은 자영업자, 실직자, 고령층이 많이 나섰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재명(왼쪽 사진)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1일 서울 중구 명동거리, 서울 서대문구 신촌 거리에서 각각 서울 집중유세를 하고 있는 모습. 뉴스1

이재명(왼쪽 사진)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1일 서울 중구 명동거리, 서울 서대문구 신촌 거리에서 각각 서울 집중유세를 하고 있는 모습. 뉴스1


민주당 "여권 역결집" vs 국민의힘 "정권교체론 효과"

여야는 야권 단일화에 따른 영향이 크다고 보면서도 상반된 해석을 내놓았다. 민주당은 야권 단일화에 위기감을 느낀 여권 지지층이 결집했다고 보고 있는 반면, 국민의힘은 전날 극적으로 성사된 단일화로 정권교체를 바라는 민심이 나타났다고 주장하고 있다.

민주당은 주요 지지층인 4050세대가 적극 나선 결과라고 자평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경제활동인구인 40대와 50대의 사전투표율이 높았던 것으로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민주당 의원들도 지역구를 중심으로 사전투표 독려에 총력을 펼치고 있다. 선대위 총괄특보단장인 정성호 의원은 페이스북에 “우리가 투표하면 승리한다"며 "사전투표하고 전화 10통만 해 달라"고 썼다.

국민의힘도 사력을 다하고 있다. 사전투표율이 높으면 본투표일 변수가 줄고 정권교체 여론이 오롯이 득표로 이어질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다만 일부 지지층에서 제기되고 있는 '부정투표 가능성'을 잠재우는 데도 적극 나서고 있다. 윤 후보가 페이스북에 "지난해 선거법 개정을 통해 확실한 안전장치를 마련했다"고 독려 메시지를 남긴 배경이다.

김현빈 기자
장재진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