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일본은 사도 광산의 등재를 통해 무엇을 얻고자 하는가?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은 1992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조약 체결국이 된 이래 일본의 전체 역사에 걸쳐 시대별로 중요한 문화유산 25건을 등재했다. 이제 세계유산에 추천할 문화유산이 바닥을 드러내자 일본은 인류의 다양한 생산 활동을 포괄하기 위해 유네스코가 1994년 신설한 산업유산 쪽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근대 일본 산업화의 출발점이 되는 메이지 시대는 문화적 유산은 빈약했으나 아시아, 태평양 전쟁을 예비하면서 일본 전역에 다수의 산업유산을 남겼다. 이들 유적은 관광자원 확보를 원하는 지역주민에게 영합하고 국제적으로 문화 대국의 위상을 확보하려는 목적에서 도전해 볼 만한 분야이다.
문제는 한국인 강제 노동으로 반발하는 한국의 반대이지만 하시마 탄광 등록 때의 수법을 써서, 사도 광산 유산의 시기를 에도시대로 한정함으로써 한국과는 무관한 것처럼 주장한다. 이러한 꼼수가 통하지 않는다면 일본은 한국과의 '역사전쟁'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태세이다.
일본은 위안부 문제에 대한 프레임을 그대로 가져와서 사도 광산의 한국인 징용은 강제노동이 아니라 돈벌이를 위한 자발적 취업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더 나아가 사도 광산의 문제는 찬란한 산업유산을 시기하는 한국인의 반대 때문이라는 혐한 선동을 벌일 것이다. 이를 통해 극우 세력을 결집, 패전 후 부정당한 과거 군국주의와 아시아에서 일본의 헤게모니를 소생시키는 기회로 삼겠다는 것이 이번 등재 추진 과정에서 드러난 속내이다.
이런 점에서 향후 수많은 산업유산의 등재를 시도하고 우익세력 결집의 기회로 쓸 것이다. 따라서 하시마 탄광 등에 이어 사도 광산은 또 다른 시작이다.
사도 광산에서의 한국인 강제노동의 증거는 니가타현의 역사 기록에서 밝혀졌다. 사도 광산의 한국인 강제노동 사실을 부정한다면 이는 니가타현 주민의 역사를 스스로 왜곡하는 것이다. 현재 남아 있는 사도 광산의 유적은 대부분 일제강점기의 것이며, 에도시대 유적이라고는 당시 광산 관리인이 사용했던 일부 시설이 약간 남아있을 뿐이다. 이로 인해 세계유산으로서 완전성과 진정성이 결여돼 있다.
지난 세기에 자행된 대규모 침략전쟁의 유산이자 참혹한 강제노동의 현장으로서 인권유린의 뚜렷한 본보기인 사도 광산을 세계유산으로 추천함으로써 양국의 평화가 위협받고 있다. 이러한 일본의 산업유산은 세계유산 제도를 파괴할 장기적인 화약고이다. 따라서 세계유산제도의 창시자 유네스코는 세계유산의 본질과 절차를 심각하게 위반한 일본의 산업유산이 인류의 현저한 보편적 가치를 구현해 후대에 물려줄 가치가 있는지, 엄중한 판단을 국제사회에 물어야 한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