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대선 패배해도 정치개혁 추진한다"... '중도층 잡기' 안간힘

입력
2022.02.25 15:40
6면
구독

안철수·심상정 겨냥 '대선용 꼼수' 불식
이재명, 조원진에 "정치개혁 동참" 요청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16일 충남 천안 단국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 손평오 국민의당 논산·계룡·금산 지역 선거대책위원장 빈소를 조문,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와 대화하고 있다. 뉴시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16일 충남 천안 단국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 손평오 국민의당 논산·계룡·금산 지역 선거대책위원장 빈소를 조문,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와 대화하고 있다. 뉴시스

더불어민주당은 25일 대선 결선투표제와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등을 포함한 '정치개혁안'을 대선 결과와 관계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권 재창출에 실패하더라도 172석 의석을 활용해 '다당제 연합정치'를 제도화하는 데 앞장서겠다는 것이다. '대선용 정치개혁안'이란 야당들의 우려를 불식시키는 한편, 선거 막판 '정권교체'에 맞서 '정치개혁' 의제로 중도층을 공략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윤호중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YTN 라디오에서 송영길 대표가 발표한 정치개혁안과 관련해 "대선이 끝나면 선거제도를 포함해 정치제도, 정부 구성에 관한 논의 결과를 국민에게 보고드릴 것"이라며 "선거 결과와 무관하다"고 했다. 이재명 대선후보가 당선되지 않더라도 국회에 선거제도 개혁을 포함해 개헌까지 다루는 '헌정개혁특별위원회'를 만들어 개혁안을 처리하겠다고 했다. 그는 '시점상 선거용 카드' 아니냐는 지적에 "시점이 시점이니만큼 그렇게 해석하는 데 대해 부인할 생각은 없다"면서도 "우리 당의 오래된 정치과제라고 분명히 말한다"고 강조했다. 국회 정치개혁특위 민주당 간사인 김영배 의원은 전날 기초지방선거에 중대선거구제를 도입하는 내용의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민주당이 정치개혁안 제시 직후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입법 발의에 나선 것은 진정성을 강조하기 위해서다. 느슨한 형태라도 반(反)윤석열 연대를 만들 경우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를 고립시키면서 이 후보로 표심 단일화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의당과 국민의당의 의심 어린 시선을 불식하려는 포석도 있다. 그간 '거대 양당제 종식'을 주장해온 두 당은 전날 민주당의 정치개혁안에 "선거용 꼼수" "부도어음"이라며 평가절하했다. 대선을 눈앞에 둔 상황에서 정치개혁안을 제시하는 것 자체가 소수정당 지지층을 흡수하려는 술수라는 이유에서다. 2020년 총선 당시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한 선거법 개정을 주도한 뒤 비례위성정당을 만들어 법 개정 취지를 휴지조각으로 만든 전례를 감안하면, 민주당을 신뢰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 후보도 적극 움직이고 있다. 그는 전날 밤 조원진 우리공화당 대선후보에게 전화를 걸어 "극단적 대결의 정치를 바꿔야 하지 않겠느냐"며 동참을 요청했다. 강경 보수 성향의 조 후보에게까지 연대의 손길을 내민 셈이다.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에게도 전화를 걸어 '우리 품을 떠나게 해서 미안하다'는 취지로 사과했다. 이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최 2차 TV토론 등을 포함해 대선 막판까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와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의 공감을 이끌어낸다는 방침이다.

다만 정치개혁을 고리로 한 반윤 연대가 민주당의 기대처럼 순조롭게 이뤄질지는 불투명하다. 심 후보는 이날 CBS 라디오에서 민주당의 제안에 대해 "선거용 퍼포먼스로 할 생각은 하지 말라. 저희한테 동의를 구할 필요가 없다"고 재차 선을 그었다. 국민의힘도 견제구를 던졌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정치개혁안과 관련해 "정의당을 좀 꼬시고 싶은 게 아닌가 싶다"고 평가절하했다.

박준석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