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10%' 청년희망적금 첫날 신청 폭주... 정부 "예산 증액 검토"

입력
2022.02.21 19:00
수정
2022.02.21 19:15
13면
구독

'가입가능 여부' 미리보기에 200만 명 몰려
신청일 늦은 가입희망자들 "조기마감 우려"
정부·금융당국 예산 증액 등 대응 마련 분주

최고 연 10% 안팎의 금리 효과를 내는 '청년희망적금'이 21일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기업·부산·대구·광주·전북·제주은행에서 대면·비대면 방식으로 출시됐다. 연합뉴스

최고 연 10% 안팎의 금리 효과를 내는 '청년희망적금'이 21일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기업·부산·대구·광주·전북·제주은행에서 대면·비대면 방식으로 출시됐다. 연합뉴스

최고 연10% 수준의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청년희망적금' 판매 첫날, 가입 신청이 폭주하면서 은행 모바일 앱에서는 접속장애 현상이 일어났다. 앱 장애로 대면 신청을 하려는 사람들이 은행을 직접 찾고, 전화 문의도 하루종일 이어지면서 일선 은행 창구에도 혼란이 지속됐다.

이자를 한 푼이라도 더 받으려는 청년들이 정책 금융상품에 한꺼번에 몰린 것으로, 자산형성에 어려움을 겪고있는 현 청년세대의 현실이 고스란히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청년 가입 폭주에 은행 앱 '접속 장애'

21일 은행권에 따르면 청년희망적금 판매를 시작한 이날, 가입자 신청이 폭주하면서 오전 9시 30분부터 두 시간가량 KB국민은행의 모바일 앱인 ‘KB스타뱅킹’에서 로그인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 NH농협은행 모바일 앱도 이날 오전 한 시간 동안 청년희망적금 가입 메뉴에 접속이 되지 않는 장애를 일으켰다.

시스템 장애로 인한 불편함은 가입 신청자들이 감수해야 했다. 직장인 A씨는 "전자서명 단계에서 수십 차례 시스템이 멈춰 오전 시간을 통으로 날려 겨우 성공했다"고 하소연했다. 모바일로는 아예 진행이 안 돼 직접 은행 지점을 찾았다는 신청자들도 적지 않았다. 직장인 B씨는 "휴대폰상에선 로그인 자체가 불가능해 회사 앞 지점에 가 대면 가입을 했다"며 "신청자가 많을 줄은 알았지만 이 정도일 줄은 상상도 못 했다"고 말했다.

이날 가입신청 폭주는 어느 정도 예견된 사태였다. 청년희망적금은 연 10% 적금 상품에 가입한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입소문을 타고 출시 전부터 청년층의 뜨거운 관심을 받아 왔기 때문이다. 실제로 가입가능 여부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는 은행 모바일 앱의 ‘미리보기’ 서비스에는 이달 18일까지 200만 명(중복 포함)이 몰리기도 했다.

조기 마감 우려에...정부 예산 증액 검토

청년희망적금은 매월 5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2년 만기 정책금융상품이다. 만 19~34세 청년이 대상이다. 만기까지 납입하는 경우 기본이자(우대금리 포함 연 6%안팎)에 더해 정부의 저축장려금(1년 차 납입액의 2%, 2년 차 납입액의 4%)이 추가로 지원된다. 또 이자소득세(세율 14%)와 농어촌특별세(세율 1.4%)도 과세되지 않는다. 자산형성에 어려움을 겪어 오던 청년들이 상품에 관심을 보이는 이유다.

가입 신청이 폭주하면서 조기마감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청년희망적금 사업예산은 456억 원으로, 가입자들이 모두 월 납입 한도액(50만 원)으로 가입하면 38만 명까지만 지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출시 첫 주인 21~25일에는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라 가입신청을 하는 ‘5부제 방식’이 적용되는 만큼, 신청일이 늦은 가입자들은 예산소진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1989년생으로 24일 가입신청이 가능한 김모(33)씨는 “미리보기에 몰린 인원을 생각하면 (청년희망적금에) 가입을 못하게 될 것이 뻔하다”며 “정부가 정한 방식 때문에 가입을 못하게 되는 것인 만큼 합당한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밝혔다.

상품의 예상 밖 인기에 놀란 정부도 대책을 고심하고 있다. '예산 소진'을 이유로 상품 판매를 종료했다가는, 공정성 문제 등이 불거질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정부가 관련 예산을 증액할 수밖에 없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기획재정부와 운영 방향을 협의하고 있다”며 “예산증액 등 가능한 모든 방법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박주희 기자
조아름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