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43.7%·윤석열 42.2% 접전... 안철수 5.8%·심상정 2.7%

입력
2022.02.21 16:00
구독

TBS-한국사회여론연구소 정례 여론조사 결과
이재명 3.3%p 상승 43.7%, 윤석열 1.3%p 하락 42.2%
여타 여론조사와 반대 흐름으로 접전 구도 형성

20대 대선 공식 선거운동 6일 차를 맞은 20일 이재명(왼쪽 위 사진)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심상정(왼쪽 아래 사진) 정의당 후보가 각각 수원과 서울 강남역에서 유세를 하며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윤석열(오른쪽 위 사진) 국민의힘 후보는 이날 유세 일정 없이 비공개로 방송광고 촬영 일정을 진행했으며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윤석열 후보와의 단일화를 진행하지 않겠다고 기자회견을 진행한 후 선거 유세를 가졌다. 서울·수원=뉴시스

20대 대선 공식 선거운동 6일 차를 맞은 20일 이재명(왼쪽 위 사진)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심상정(왼쪽 아래 사진) 정의당 후보가 각각 수원과 서울 강남역에서 유세를 하며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윤석열(오른쪽 위 사진) 국민의힘 후보는 이날 유세 일정 없이 비공개로 방송광고 촬영 일정을 진행했으며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윤석열 후보와의 단일화를 진행하지 않겠다고 기자회견을 진행한 후 선거 유세를 가졌다. 서울·수원=뉴시스

21일 발표된 여론조사업체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한사연)의 여론조사 결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접전을 벌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사연이 TBS방송 의뢰로 18, 19일 이틀 동안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차기 대선후보 선호도 조사에서 이재명 후보는 43.7%의 지지를 얻었고 윤석열 후보는 42.2%를 얻었다. 직전 조사 대비 이 후보가 3.3%포인트 상승했고, 윤 후보는 1.3%포인트 하락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5.8%,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2.7%에 머물렀으며 지지후보가 없거나 모른다는 대답은 2.8%였다.

같은 조사에서 이 후보는 1월 3주 차 33.8% 이후 4주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윤 후보는 2월 첫째 주 44.6%로 고점을 찍은 후 2주째 하락했다.

같은 시기에 진행된 한국리서치 여론조사를 비롯해 전국지표조사(NBS)와 한국갤럽 등의 정례 조사에서는 윤 후보가 보수 집결로 상승세를 탄 반면, 앞서 윤 후보가 오차범위 밖으로 앞서기도 했던 한사연 조사에선 반대로 윤 후보가 하락하면서 접전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지난주 대비 이재명 여성·20대·서울·영남 상승... 윤석열 호남서 선전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정례 여론조사 대선후보 지지도 결과 추이.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정례 여론조사 대선후보 지지도 결과 추이.

유권자 유형별로 보면 이 후보는 40대(61.9%) 50대(53.8%)와 서울(45%) 광주·전라(61.5%)에서 앞섰고, 윤 후보는 30대(44.4%)와 60대 이상(57.5%), 대구·경북(52.9%) 부산·울산·경남(49.9%) 강원·제주(47.3%)에서 우세했다. 20대와 인천·경기, 대전·세종·충청에선 두 사람이 접전이다.

이 후보는 여성에서 5.9%포인트, 연령별로 20대에서 10.5%포인트, 50대에서 10%포인트, 지역별로 서울 9.6%포인트, 자영업자층에서 7.9%포인트, 중도성향 응답자에서 5.1%포인트 상승하면서 각 유형별로 앞서거나 접전 구도를 만들었다.

이 후보는 상대적 취약 지역이던 대구·경북에서도 7%포인트, 부산·울산·경남에서도 6.1%포인트 상승했다. 윤 후보도 광주·전라에서 12.3%포인트 오른 27.7%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보여 영·호남의 두 후보 간 지역별 지지도 격차는 줄었다.


응답자 98.7% "대선 투표하겠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정례 여론조사 대선 지지 후보 교체 의향 결과 추이.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정례 여론조사 대선 지지 후보 교체 의향 결과 추이.

대선 투표를 할 것인지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98.7%가 투표하겠다(반드시 94.3%+웬만하면 4.4%)고 응답했으며 투표할 생각이 없다는 응답은 1%에 그쳤다. 현 지지 후보를 계속 지지할지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84.1%가 "계속 지지하겠다"고 답했으며 "바꿀 수도 있다"는 응답은 13.5%였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와 한국사회여론연구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인현우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