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기상재해' 조기경보 시스템 전담 직원 단 1명... "세밀한 맞춤형 기후 측정 불가능"

입력
2022.02.08 04:30
수정
2022.02.08 16:07
8면
구독

[기후 위기가 우리 삶을 바꾼다]
<상>내 장바구니 위협하는 기후위기

편집자주

기후위기로 삶의 터전을 위협받는 건 이제 더 이상 북극곰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기후위기는 이미 우리의 밥상물가, 일자리, 삶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그 면면을 상, 중, 하 총 세 차례로 짚어봤습니다.


급격해진 기후변화가 우리 밥상을 위협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조금이라도 더 과학적 대응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이제서야 기후변화 측정기 배치를 늘리고 있지만, 아직은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7일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국립농업과학원은 현재 전국 40개 시·군에서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가동하고 있다. 우리나라 특성상 지형이 복잡하고, 같은 지역 내에서도 재배 작물이 다양한 데다 재배 규모도 작아 각각에 맞는 기후예측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지난달 3일 경북 문경시 문경읍에서 수확이 끝난 사과밭에 앙상한 가지만 남은 사과나무들이 줄지어 서있다. 문경=홍인기 기자

지난달 3일 경북 문경시 문경읍에서 수확이 끝난 사과밭에 앙상한 가지만 남은 사과나무들이 줄지어 서있다. 문경=홍인기 기자


문경에서 사과 키우는데 대구 날씨를 본다?

그간 국내 농업은 '감(感)'을 토대로 이뤄졌다. 9시 뉴스 등에서 발표하는 특정 지역의 2~3일치 기온을 본 뒤 자기 농장이 속한 지역의 기온을 역산해 추정한 것이다. 가령 개화기는, 기상청이 서울에서 며칠에 꽃이 핀다고 발표하면 이를 기준으로 제각기 자기 지역 개화시기를 추측하는 식이다. 심지어 사과는 주산지가 다른 지역으로 바뀐 지 오래임에도 사과연구소가 대구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여전히 대구 기준의 수치자료를 바탕으로 재배하고 있다.

심교문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농업연구관은 "이상기후가 빈발하면서 '감'에 의존한 재배가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며 "지형 특성 등 때문에 같은 마을 안에서도 농가 위치에 따라 기상조건이 다르고, 재배작물에 따라 피해양상도 달라져 세밀한 맞춤형 기후측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2018년 최악 수온 겪은 뒤에야 측정기 설치

어업도 마찬가지다. 그간은 기후변화가 크지 않아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했던 반면 최근에는 부쩍 이상기후가 잦아지면서 예측이란 게 무의미해졌다. 그러던 중 2018년 '역대 최악'이라는 고수온 문제가 불거지자 정부는 비로소 양식장이 대거 분포하거나 재해가 빈발하는 곳을 중심으로 수온측정기를 설치하기 시작했다. 측정기는 현재 동해 17곳, 서해 44곳, 남해 69곳, 제주 10곳 등 140곳에서 운영 중이다. 이 측정기들은 해역별 특성에 따라 수온과 염분, 산소농도 등 필요한 정보를 30분마다 위성으로 전송한다.

하지만 여전히 갈 길이 멀다. 국립농업과학원은 갈수록 빨라지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24년까지 경보시스템을 155개 시·군으로 확대할 계획이지만, 인력이 턱없이 부족해 목표 달성 여부를 확신하기 어렵다. 현재 연구원 2명이 이 작업을 모두 떠안고 있는데, 그마저도 전담 직원은 1명뿐이다.

정부가 겉으로는 2050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외치면서 정작 기후변화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현장을 위한 사업에는 지나치게 인색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국립농업과학원 관계자는 "이 사업은 사후복구 중심의 위기관리에 맞춰졌던 이상기후 관련 재해관리 패러다임을 예측을 통한 '피해저감'으로 바꾸기 위한 것"이라며 "경보시스템 설치를 서둘러 확대하기 위해 전담 인력 증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진주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