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예고된 '오미크론 1만 쇼크' 닥쳤는데... "차근차근 준비한다"는 정부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25일(26일 0시 기준) 코로나19로 확진된 인원은 1만 3,012명이다. 전날만 해도 8,500명대였는데 하루 새 무려 4,400명 넘게 늘었다. 26일에는 오후 9시까지 확진자가 1만 2,410명을 기록했다. 최종 집계 때는 1만 명을 훌쩍 넘어 1만 5,000명 선까지도 이를 수 있다. 다가올 설 연휴까지 감안하면 더 걱정이다.
'오미크론 유행이 오면 하루 확진자 1만 명 선이 뚫린다'던 얘기가 현실화됐다. 쇼크는 쇼크이되, 이미 오랫동안 예고된 오미크론 쇼크다. 그러나 오미크론 쇼크가 오는 즉시, 즉각 대응태세로 전환할 것이라던 정부는 이날 돌연 "차근차근 준비하고 있다"거나 "확진자 수에 공포를 느낄 필요는 없다"고 말을 바꿨다. 전문가들은 “그동안 뭘 했나”라는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회의에서 “오미크론 확산세가 본격화했다”며 “가까운 병·의원에서 코로나 진찰·검사·치료가 함께 이뤄지면 오미크론에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런데 ‘언제부터’인지가 빠졌다. 오는 29일부터 전국 256개 선별진료소에서, 2월 3일부터 호흡기전담클리닉 431개와 지정된 동네 병·의원에서 신속항원검사는 가능하다. 하지만 이건 검사 체계만 전환하는 것이다.
지난 14일 정부는 확진자가 7,000명을 넘으면 ‘오미크론 대응 단계’를 발동해 지역 병·의원 같은 일차 의료기관이 코로나 환자를 보도록 진료 체계도 바꾸겠다고 발표했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방역과 의료 관리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국민 건강 피해가 확산할 것”이라면서 검사와 진료 체계를 모두 전환해 대응하겠다고 공언했다.
그러나 정작 1만 명이 됐는데 정부는 “현재 보건소와 공공기관 중심인 재택·병상 치료 체계에 동네 병·의원이 참여하면 치료가 다소 느슨해진다”, “중환자 병상이 80% 비어 있어 의료 대응에 여유가 있다”는 이유를 들어 진료 체계 전환을 미뤘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전환이 너무 빨리 되면 오히려 자원을 비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감염 확산 위험성이 커질 수 있다”며 “차근차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정부를 두고 전문가들은 "지금은 분명한 위기 상황”이라며 펄쩍 뛴다. 차근차근 준비하는 건 오미크론 확산이 다가올 게 뻔히 보인 지난 한 달여 간 해뒀어야 하고, 지금은 준비를 마치고 시행해야 할 때라는 것이다. 김윤 서울대 의대 의료관리학교실 교수는 “정부가 상황이 바뀐 데 대해 종합적인 이해가 부족한 것 아닌지 의문마저 든다”며 “새로운 체계로 실질적으로 전환하지 않을 경우 확진자가 계속 늘면 큰 병원이나 응급실에 가야 할 외상이나 뇌졸중 환자, 산모들의 2차 피해가 현실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오미크론이 다른 변이보다 상대적으로 약하다 해도 확진자 수가 급증하면 위중증이나 사망이 늘 수밖에 없다. 이 위험성은 정부 스스로도 계속해서 강조해왔다. 다음 달 확진자가 2만~3만 명 될 거라는 경고 메시지도 수시로 나왔다. 그런데 막상 1만 명을 찍은 이날 정부는 “확진자 수에 너무 불안해할 필요 없다”며 물러섰다.
전문가들은 지금 상황에선 감기 기운만 있어도 불안해할 국민이 태반일 거라고 반박했다. 정기석 한림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준비가 덜 된 걸 드러내지 않기 위해 애쓰는 듯하다”며 “지금은 증상이 있을 때 찾아갈 수 있는 동네 병·의원 위치까지 국민들이 알고 있어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오미크론 확산이 심각해지자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점검회의를 주재했다. 문 대통령은 오전에도 “오미크론 대응 단계 전국 확대 준비를 빠르게 진행하라”며 “동네 병·의원 코로나 검사·치료 체계도 초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겠지만 의료계와 잘 협의해 대처하라”고 당부했다.
하지만 의료계는 의원급에선 재택치료 모니터링도 이제 시작인데 검사·진료까진 아직 멀었다는 분위기다. 염호기(인제대 의대 호흡기내과 교수) 대한의사협회 코로나19전문위원회 위원장은 “소규모 의원들의 현실적 상황을 고려해달라 요청하는데, 정부와 소통이 어렵다”며 이대로라면 “설 이후에도 의원 진료는 언제 가능해질지 불확실하다”고 토로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