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심의 바다

입력
2022.01.06 18:00
26면
구독

편집자주

<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6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변화와 쇄신’ 청년보좌역들과의 간담회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스1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6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변화와 쇄신’ 청년보좌역들과의 간담회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스1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당 내분과 지지율 하락 등 안팎으로 곤경에 처했다. 김종인 전 총괄선대위원장과 결별하며 선대위 조직을 재편했지만 반전의 계기를 잡을지는 불투명하다. 출마 초기 호랑이 등에 올라탄 기세로 대세론을 만들던 그가 지금은 거친 풍랑에 좌초 위기에 처한 셈이다. 호랑이 등인 줄 알았던 민심이 오히려 그를 덮치는 바다와 같은 형국이다.

□ 민심을 바다에 빗대는 것은 오래된 비유다. ‘공자가어’(孔子家語)의 오의해(五儀解) 편에서 공자는 노나라 군주 애공에게 “임금은 배요 백성은 물이니, 이 물은 배를 띄울 수 있지만 배를 뒤집어엎을 수도 있다. 임금께서 이를 위태롭게 여긴다면 무엇이 위태로운 것인지 알고 계신 것이다”라고 했다. 공자가어는 중국 삼국시대 말기 왕숙이 편찬한 것으로 위서(僞書) 시비가 있는 것을 감안하면, 이보다 더 앞선 ‘순자(荀子)’가 이 비유의 출전이라고 볼 수도 있다. 이 책의 왕제(王制)편에 “백성이 정치에 편안해진 뒤에야 군자의 자리가 편안하다”며 임금을 바다(백성) 위에 떠 있는 배에 비유하는 이야기가 나온다.

□ 민심이 바다라는 비유는 고대 중국에서만 나온 게 아니다. 로마 제정기에 쓰여진 ‘플루타르크 영웅전’에도 비슷한 일화가 나온다. 페르시아와의 전쟁에서 그리스를 구한 영웅인 테미스토클레스가 청년 시절 정치에 발을 들여놓으려 할 때, 그의 아버지가 바닷가에 버려진 난파선을 가리키며 정치가는 민중이 한 번 버리면 저 난파선과 같은 꼴이 된다고 충고했다고 한다.

□ 민심을 바다, 정치가를 배에 빗대는 것은 정치인들이 민심을 두려워해야 하며 그러지 못하면 위태로워진다는 뜻의 서늘한 경고다. 이번 대선은 민심의 바다를 실감케 한다. 어느 때보다 지지율 등락 폭이 커서 누구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달리 보면, 이는 민심이 그만큼 편안하지 못하다는 증거다. 삶의 여건이 풍요롭다면 누가 정치를 하든, 민심은 평화로운 바다와 같을 것이다. 민심을 두려워만 할 게 아니라 어떤 폭풍우를 만났길래 그토록 출렁이는지를 먼저 알아야 한다.

송용창 논설위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