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전직 고수-전직 검사, 개미들의 선택은?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36.5℃는 한국일보 중견 기자들이 너무 뜨겁지도 너무 차갑지도 않게, 사람의 온기로 써 내려가는 세상 이야기입니다.
주식시장을 다루는 현 부서에 발령받은 게 2019년 12월 23일이다. 벌써 아득하지만 따져보니 불과 2년 전이다. 와보니 코스피는 2,200포인트 안팎을 오갔다. 유난히 역동적인 나라에서, 주가만큼은 수년째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었다. 한 선배가 실없는 농담을 했다. "이제 (신문) 종합면에서 네 이름 보기 힘들겠다." 주식시장이 좀체 재미가 없으니 기사 거리도 없지 않겠냐는 뜻이었다.
신이시여. 석 달도 안 돼 나는 '붕괴'란 단어를, 적어도 우리 신문사에서 가장 많이 쓰는 기자가 됐다. 1,400포인트, 주가는 속절없이 추락했다. 매일 거르지 않고 '브레이크 없는 증시' 같은 제목의 기사로 그 '종합면'을 써댔다. 도대체 언제까지 떨어질 것 같으냐고 전화를 걸면 증권사 애널리스트들도 한숨부터 쉬고 봤다. 그땐 정말 몰랐다. 1년도 안 돼, 입에도 착착 붙는 '삼천피'란 표현을 동원해가며 또 종합면을 들락거리게 될 줄은. 2021년 1월, 주가 3,000 시대 개막이었다.
새삼 1년 전 기억을 더듬은 건, 지난달 4인의 대선 후보가 출연한 경제 유튜브 방송 때문이다. 이재명(1월 5일 밤 기준 601만)·윤석열(312만) 두 후보 방송에만 1,000만 시청자가 몰렸다는 것도 놀랍지만, 대선 후보들이 TV방송도 아닌 유튜브에, 그것도 주로 주식투자 콘텐츠를 다루는 방송에 차례로 출연했다는 것에 솔직히 더 놀랐다. 과거에도 유력 정치인들이 특정 인사가 진행하는 인터넷 방송에 얼굴을 비춘 적은 있었지만, 이른바 '개미(개인 투자자)'들이 주된 구독층인 경제 유튜브에서 주식투자를 주제로 인터뷰한 적은 없지 않았던가.
그래서 궁금하고 반가웠다. 나는 (존 리는 아니지만) 더 많은 사람들이 주식투자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어서, 두 달 뒤 대통령이 되겠다는 사람들이 주식투자에 대해, 더 나아가 이 땅의 금융시장 발전을 위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알고 싶었다. 종목투자에 선물, 옵션까지 손대 봤다는 전직 투자의 고수와 월급 꼬박꼬박 예금에 넣느라 주식은 안(못) 해봤다는 전직 검사. 따지고 보면 애초부터 불리한 게임. 하지만 각자의 경험과 지식 선에서 밝힌 자본시장 철학을 비교할 수 있었단 것만으로 난 이 방송의 의미가 컸다고 본다.
천만 개미들의 환심을 사기 위한 속 보이는 출연이었던들 어떠랴. 코로나가 할퀸 지난 2년, 어찌됐건 국내 증시는 참 많이 달라졌고 국민에게 더 중요해졌다. 두 후보가 지난 3일 올해 증시 개장식이 열린 한국거래소를 나란히 방문한 것도 나쁜 그림이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뒷맛은 영 쓰다. 이 후보의 시작과 끝은 '코스피 5,000 시대'다. 불투명성, 불공정 때문에 국내 주식시장이 유독 저평가돼 있다며, 이것만 해결해도 4,500은 거뜬하다고 특유의 자신감 있는 어조로 단언했다. 기업 실적과 우리 경제에 대한 국내외 투자자들의 기대이자 결과물이어야 할 주가가, 정권 내 이뤄야 할 목표가 되는 것 같아 걱정이 된다.
국내 주식시장이 저평가된 이유를 묻는 질문에 금융범죄, 검찰, 재판, 법원, 수사인력, 처벌 같은 단어들을 쏟아내며 '내가 바로 전직 검사'란 티 팍팍 낸 윤 후보에 대한 걱정도 만만치 않다. "전면 금지도 안 맞고 그렇다고 전면 허용할 수도 없고"란 공매도에 대한 아리송한 답변도 답답하다.
방송 소감을 이렇게 정리해 보련다. 금융범죄 사라진 오천피(코스피 5,000) 시대를 향하여. 하지만 여러모로 갈 길이 멀어 보인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