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윤석열 SNS 분석... 많이 말한, 적게 말한 단어는?

입력
2022.01.09 15:00
수정
2022.01.10 09:43
6면
구독

두 후보, 관심 분야 뚜렷한 차이 보여
소수자·약자 언급 정도차 있으나 빈약

20대 대선에서 격돌하는 이재명(왼쪽)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뉴스1

20대 대선에서 격돌하는 이재명(왼쪽)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뉴스1

말을 분석했더니 소수자, 성평등, 빈곤 화두가 사라진 대선의 민낯이 보인다.

한국일보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출마 선언문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의 말을 분석해봤다. 2021년 7월 1일부터 12월 18일까지 이 후보는 총 513건, 윤 후보는 같은 해 6월 29일부터 12월 18일까지 180건의 글을 남겼다.

이 후보는 22회, 윤 후보는 9회 '약자'를 입에 담았다. 구체적으로 많이 언급한 약자·소수자 집단은 아동(이 72회·윤 8회)과 여성(이 67회·윤 5회)이었다. 장애(이 14회·윤 2회)나 노인(이 11회·윤 1회)을 말한 횟수는 더 적었다.

이 후보의 총 단어량이 6만2,285개, 윤 후보는 1만7,703개였던 점을 감안하면 얼마나 언급 횟수가 미미한지 알 수 있다.

언급했다고 해서 그 대상을 배려하고 있다는 의미는 아니었다. 윤 후보의 여성 언급의 절반 이상(3회)은 '여성가족부 폐지'나 '여가부 개편' 관련 내용이었다. 구조적인 문제를 풀기보다는 젠더 갈등에 편승하려는 모양새다. 이 후보 역시 여가부를 평등가족부로 바꾸겠다고 선언했다.

윤 후보는 SNS에서 단 한 번도 '성평등'을 언급하지 않았다. 이 후보는 17차례 말했다.

앞다퉈 경제를 살리겠다면서도 저소득층은 대선 후보의 이목을 끌지 못하는 듯했다. 윤 후보는 가난·빈곤은 단 4회, 양극화는 0회 말했다. 이 후보는 각각 40회와 10회였는데, 윤 후보의 총 단어량이 이 후보의 28.4%에 불과하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관심이 없다시피 한 셈이다.

또 이 후보는 노동자를 포함한 노동을 113회 언급한 반면, 윤 후보는 단 18회 발언에 그쳤다. 발언 내용 역시 이 후보는 비정규직 노동자나 노동자 처우 개선 등을 주로 말했지만 윤 후보는 민주노총 총파업을 비롯, 거대 노조의 갑질을 꼬집으려 노동을 입에 담았다.

두 후보 모두 입에 담지 않은 존재도 있다. 바로 성소수자다. 이들이 성소수자를 언급한 횟수는 나란히 0(제로)였다. 차별금지법도 윤 후보는 한 번도 말하지 않았고, 이 후보는 윤 후보의 관련 인식을 비판하기 위해 차별금지법(1회)을 꺼내들었지만 본인 역시 뚜렷한 입장을 밝히진 않았다.

정책 분야 중 이 후보가 많이 언급한 건 경제(337회)와 부동산(185회)이었다. 또 자신의 대표적인 정책인 기본소득(199회)에 대한 강조도 잊지 않았다. 재난기본소득과 청년기본소득, 농촌기본소득 등 취약계층을 위한 기본소득 이슈를 여러 차례 언급하면서 선명성을 부각했다.

윤 후보는 구체적인 정책 분야 언급 비중이 적었는데 그나마 청년(95회)이 많았다. 청년 다음으로는 검찰(63회) 횟수가 많았다. 윤 후보는 경제(47회)보다 검찰이나 범죄(55), 수사(102회)를 더 자주 말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중소기업 포함)을 언급한 횟수도 이 후보는 150회였고, 윤 후보는 17회에 그쳤다. 반면 윤 후보는 군인(국군 포함)을 24회, 간첩을 4회 말했는데, 이 후보는 군인은 17회, 간첩은 0회여서 차이를 보였다.


그래픽= 송정근기자

그래픽= 송정근기자

그렇다면 두 후보가 가장 많이 쓴 단어는 무엇일까. 공통으로 많이 쓴 단어인 국민·후보·대한민국·대통령·정부·사람 등은 제외했다. 이 후보는 이재명(564회), 경제(337회), 정책(219회), 지원(197회), 기본소득(199회), 부동산·기회(각 185회), 경기도(184회)였다. 자신의 공적을 띄우는데 주력한 것이다. 윤 후보는 이재명(238회), 대장동(114회), 수사(102회), 청년(95회), 게이트(93회), 정권(80회), 사건·정권 교체(각 76회), 민주당(74회) 등이었다. 이 후보의 대장동 의혹과 민주당 정권을 향한 반대 정서를 통해 정권 교체를 이루겠다는 의도가 키워드에서 읽힌다.

전혼잎 기자
박서영 데이터분석가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