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대장동만 두번째... 검찰 대형수사 때마다 비극 반복되는 이유는?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대장동 개발사업의 주무 부서장이었던 김문기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이 숨진 채 발견되면서 검찰을 향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검찰이 대형 사건을 수사할 때마다 사건 관계인이 사망하는 비극이 반복되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고, 검찰이 이 같은 극단적 선택의 '트리거(Trigger)' 역할을 했다고 보기 때문이다.
검찰 조사 대상자가 극단적 선택을 할 경우 의심의 눈초리는 당연히 검찰로 향하게 된다. 혐의 여부를 떠나 조사받는 이들이 갖게 되는 심리적 압박감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김 처장 역시 '참고인' 신분으로 4차례 조사를 받으면서 상당한 스트레스를 주변에 호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억울함에 대한 충분한 법률적 조력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한탄을 자주 털어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평소에는 아무 문제없을 말 한마디나 눈빛 하나도 조사실에선 비정상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경우도 허다하다. 검찰 조사 방식이 강압적이라는 불만이 자주 제기되는 이면에는 심리적 측면도 깔려 있는 셈이다. 검찰 조사 과정에서 알게 되는 사건과의 연관성도 또 다른 두려움의 대상이다. 김 처장 역시 앞서 재판에 넘겨진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 등 이른바 '대장동팀'의 공소장에 자신의 이름이 등장한 것에 상당한 부담감을 토로한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검찰은 강압수사 의혹을 부인한다. '잘못된 수사 방식으로 인한 극단적 선택'은 과거사일 뿐이라는 것이다. 김 처장에 대한 조사 역시 "(일각에서 주장하는) '뭘 받았느냐' 식의 금품수수 의혹은 물어보지 않았다"며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및 사업협약서 작성 과정에 한정해 법과 절차에 따라 참고인 조사를 했을 뿐"이라는 게 검찰 입장이다.
검찰 수사로 자신이 속한 조직에서 준범죄자 낙인이 찍히는 것도 극단적 선택의 이유로 거론된다. 특히 명예와 체면을 중시하는 공공기관에선 주변 시선을 더욱 의식할 수밖에 없다. 김 처장 역시 성남도시개발공사에서 내부 감사를 받은 뒤 사망 당일 중징계 의결 통보를 전달받은 상황이었다고 한다. 여기에 애착을 갖고 진행했던 대장동 사업이 검찰 수사 등으로 문제투성이 사업으로 각인되자, 김 처장은 자존감이 부서졌다고 주변에 털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수사가 장기화하면서 언제든 다시 수사받을 수 있다는 점도 극복하기 힘든 스트레스로 꼽힌다. 언론에 계속 사건 내용이 언급되고 노출되는 것도 부담이다. 검찰은 김 처장이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되거나 피의자성 참고인으로도 보고 있지 않았고, 압수수색 및 구속영장 청구도 고려하지 않았다고 했다. 하지만 김 처장은 대장동 관련 수사가 늘어지면서 김만배씨 기소(11월 22일) 전에 세 차례(10월 6, 7, 12일)나 조사를 받은 뒤, 이달 9일 또다시 검찰에 불려갔다.
차장검사 출신의 한 변호사는 "국민적 이목이 집중되는 대형 수사일수록 유능한 검사를 많이 투입해야 하는 이유는 범죄와 관계없거나 연관성이 낮은 사람들을 솎아내서 불필요한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것"이라며 "대장동 수사가 마무리될 기미가 없었기 때문에, 김 처장처럼 현직에 남아 있는 사람은 상당한 스트레스에 시달릴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