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표 쇄신 한 달... '文정부와 차별화'로 절반만 성공

입력
2021.12.22 04:30
수정
2021.12.22 07:53
4면
구독

차별화 따른 정책 신뢰·안정감 확보는 과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1일 서울 중구 정동1928 아트센터 이벤트홀에서 마이클 샌델 하버드 교수와 대전환의 시대, 대한민국은 어떻게 공정의 날개로 비상할 것인가의 주제로 화상 대담을 하고 있다. 이번 대담에는 온라인을 통해 공개 모집한 국민참여단 현장 패널 15명도 참석했다. 뉴스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1일 서울 중구 정동1928 아트센터 이벤트홀에서 마이클 샌델 하버드 교수와 대전환의 시대, 대한민국은 어떻게 공정의 날개로 비상할 것인가의 주제로 화상 대담을 하고 있다. 이번 대담에는 온라인을 통해 공개 모집한 국민참여단 현장 패널 15명도 참석했다. 뉴스1

"민주당의 이재명이 아니라 이재명의 민주당을 만들겠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지난달 20일 충남 논산 화지시장에서 당의 쇄신을 강조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당시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와의 지지율 격차가 10%포인트 안팎으로 벌어지면서 비대했던 선거대책위원회는 물론 민주당에 대한 대수술을 예고한 것이다. 이후 소속 의원 169명 전원이 참여한 용광로 선대위는 이 후보 측근 중심의 '몽골 기병대'식 선대위로 재편됐다.

정책과 메시지도 달라졌다. '조국 사태'에 고개를 숙였고,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유예, 공시가격 현실화 속도 조절 등을 꺼내며 현 정부 부동산 정책과 차별화에 나섰다. 그러면서 "우리가 무조건 옳다"는 여권을 상징하는 독선·오만 이미지 탈피에 나섰다. 여권 관계자는 21일 "이 후보가 강조하는 쇄신의 출발점은 문재인 대통령이 2018년 지방선거 압승 후 참모들에게 강조한 세 덕목(유능함·도덕성·태도)"이라며 "부동산 실정, 조국 사태, 독선적 태도로 이들 덕목이 훼손되며 정권심판론이 확산됐다"고 분석했다.

이 후보의 '쇄신 행보' 이후 성적표는 나쁘지 않다. 14~16일 한국갤럽이 실시한 대선후보 4자 대결 조사에서 이 후보는 36%, 윤 후보 35%였다. 한 달 전 같은 조사에서 윤 후보(42%)가 이 후보(31%)를 11%포인트 차이로 앞선 것을 감안하면, 박빙 양상으로 바뀐 것이다. 같은 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층에서의 이 후보 지지율은 지난 한 달 동안 4%포인트(77→81%) 상승했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 부인 김건희씨의 경력 부풀리기 의혹과 국민의힘 선대위 내홍이 지속되면서 당내에선 연내 골든크로스에 대한 기대도 감지된다.

중원 공략에도 지지율은 '박스권'에 갇혀

19일 서울 용산구 효창공원에서 엄수된 매헌 윤봉길 의사 순국 89주기 추모식에서 이재명(앞줄 오른쪽)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황기철 국가보훈처장의 추모사를 듣고 있다. 배우한 기자

19일 서울 용산구 효창공원에서 엄수된 매헌 윤봉길 의사 순국 89주기 추모식에서 이재명(앞줄 오른쪽)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황기철 국가보훈처장의 추모사를 듣고 있다. 배우한 기자

다만 이 후보가 마음을 놓을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익명을 요구한 여론조사 전문가는 "이재명표 쇄신이 지지율 상승세를 가져왔다고 말할 수 있으려면 30%대 중반을 넘어서는 박스권 돌파 조짐이 있어야 한다"며 "'하락세가 멈췄다'가 적합한 표현"이라고 했다.

문재인 정부와의 정책 차별화를 통해 '산토끼' 확보에 나섰지만 뚜렷한 성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얘기다. 친문재인계 한 민주당 의원은 "야권 우위 구도는 여전하다"며 "여론조사에서 5%포인트 이상 앞서야 실제 대선에서는 아슬아슬하게 이길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합니다→안 합니다"... 중도층에 불신 부를 수도

이재명(경기도지사)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지난 10월 22일 오전 광주 북구 망월동 5·18 구묘역(민족민주열사묘역)을 참배하기 위해 입장하며, 묘역 입구 땅에 박힌 전두환 비석을 밟고 서 있다. 이 후보는 주변에 "윤석열 후보도 여기 왔었느냐"고 물은 후 "왔어도 존경하는 분이니 (비석은) 못 밟았겠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이재명(경기도지사)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지난 10월 22일 오전 광주 북구 망월동 5·18 구묘역(민족민주열사묘역)을 참배하기 위해 입장하며, 묘역 입구 땅에 박힌 전두환 비석을 밟고 서 있다. 이 후보는 주변에 "윤석열 후보도 여기 왔었느냐"고 물은 후 "왔어도 존경하는 분이니 (비석은) 못 밟았겠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실용주의'를 앞세운 중원 공략이 이 후보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국토보유세 도입 등 보유세 강화를 외치다, 돌연 공시가격 현실화 속도 조절을 주장하거나 전두환 전 대통령을 비판하더니 갑자기 "공·과(功過)가 공존한다"고 밝히는 등 냉탕과 온탕을 오가는 잦은 말 바꾸기 때문이다. 이는 정책 신뢰도는 물론 국정운영자로서 안정감에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고 중도층에는 거부감을 부를 수 있다. 민주당에선 "방향은 맞는데, 우회전하는 속도가 너무 빠르다"는 지적이 많다.

이 후보의 과도한 정책적 유연성은 집토끼의 이탈을 부추길 수 있다는 것이다. 이해찬 전 대표, 유시민 전 노무현재단 이사장 등이 최근 방송에서 지원사격에 나선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민주당의 한 중진의원은 "'이재명은 합니다'가 핵심 슬로건인데, 무엇을 하겠다는 건지 보이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초·재선 중심으로 선대위가 슬림화한 이후 이 후보만 보인다는 지적도 많다. 배철호 리얼미터 수석전문위원은 "이낙연 전 대표와 같이 중도 성향의 대중적 인지도가 있는 인사들이 보완재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준석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