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3차 접종 늘어나는데… 아직도 떠도는 백신 무용론과 괴담들

입력
2021.12.20 19:00
수정
2021.12.20 19:10
구독

'의료진' 이름 단 백신 괴담론 솔솔
전문가 "안전성 검증으로 우려 불식을"

20일 오후 울산시 북구 고헌초등학교에서 신종 코로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학교 방문 접종이 이뤄지고 있다. 연합뉴스

20일 오후 울산시 북구 고헌초등학교에서 신종 코로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학교 방문 접종이 이뤄지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이 상승세를 타자마자 '백신 무용·괴담론'이란 암초를 만났다. '물백신이라 소용없다', '백신에 괴생명체가 들어있다' 등의 내용이다. 온라인상에선 관련 글이 확산되며 백신에 대한 공포감이 번지는 모습이다. 정부는 모두 허무맹랑한 주장이라며 일축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정부가 국민의 불안감을 잠재울 수 있도록 소통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지적한다.

20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누적 3차 접종자는 1,156만5,083명으로 1,100만 명을 넘었다. 전체 인구 대비 26.2%다.

방역당국은 지난주부터 3차 접종자가 크게 증가하자 고무적인 모습이다. 연일 3차 접종 성과를 알리며 국민의 적극적인 동참을 독려하고 있다. 지난 15일에는 하루에 90만 명에 가까운 사람이 3차 접종을 했고, 19일에는 누적 3차 접종자가 1,000만 명을 넘었다고 발표했다.

"백신에 괴생명체 있다" 주장에 불안감 커져

함께하는사교육연합, 전국학부모단체연합 관계자들이 17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가정행정법원청사 앞에서 열린 방역패스 처분 효력정지 가처분 소송 제출 기자회견에서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스1

함께하는사교육연합, 전국학부모단체연합 관계자들이 17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가정행정법원청사 앞에서 열린 방역패스 처분 효력정지 가처분 소송 제출 기자회견에서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스1

그러나 온라인상에선 백신에 대한 불신론이 돌아다닌다. 그중에는 '의사', '의료진' 이름을 내건 것도 있다. 지난 17일 전국학부모단체연합 등 67개 단체가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자신을 산부인과 전문의라고 밝힌 이모씨는 "특수 입체 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 백신 배양액 속에서 정체불명의 미생물 확인체들이 다량 발견됐다"고 주장했다.

이왕재 서울대 의대 명예교수는 지난달 29일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백신을 100번 맞아도 항체는 핏속에 있어 공기 중에서 직접 상피 세포를 감염시키는 (코로나19를) 막을 재간이 없다"며 백신 무용론을 제기했다. 백신 반대 단체인 '의료진연합'이란 단체는 의료진에게 '코로나 백신은 안전하지 않다'고 선언하는 내용의 동영상을 보내 달라는 '5초의 기적'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정부, 보다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소통 적극 나서야"

20일 오전 세종시의 한 중학교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찾아가는 학교 단위 백신접종'이 이뤄지고 있다. 연합뉴스

20일 오전 세종시의 한 중학교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찾아가는 학교 단위 백신접종'이 이뤄지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의 반박에도 백신 무용·괴담론은 끊이지 않는다. 심지어 '백신 속 괴생명체가 와이파이 접속을 방해한다'는 헛소리까지 나온다. 백신 무용론을 내세우는 의료진 주장은 '소신 발언'으로 포장된다. 백신 성분을 검증해 보자는 요구가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오르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이를 잠재우려면 정부가 보다 세밀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최재욱 고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정부가 부정만 하지 말고 국민을 이해시켜야 한다"며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신고가 들어오기 전에 선제적으로 안전성 검증에 나서 우려를 불식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대한의사협회는 오는 23일 상임이사회를 열어 백신 괴생명체를 주장한 의사에 대해 중앙윤리위원회 제소 여부를 논의한다. 의협 관계자는 "많은 백신 무용론에도 대응하지 않은 건 자칫 괴담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면서 "이번 괴생명체 주장은 과학자나 의사의 윤리를 저버렸다고 판단해 신속하게 대응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류호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