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퐁당퐁당' 등교… "'학년별' 등교 제한으론 밀집도 못 낮춰" 비판도

입력
2021.12.20 20:00
구독

전국 초중고 23%, 수도권 30%가 과밀학급
학년별 등교 제한으론 방역 효과에 한계
수시로 바뀌는 등교정책, 학부모 '곤혹'

수도권 모든 학교가 전면등교를 중단하고 등교수업과 원격수업을 병행하기 시작한 20일 서울 성북구 장위중학교에서 2학년 수업이 원격으로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수도권 모든 학교가 전면등교를 중단하고 등교수업과 원격수업을 병행하기 시작한 20일 서울 성북구 장위중학교에서 2학년 수업이 원격으로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듣기 문제 하나 더 갈게요. 문장을 들으면서 메시지를 갖고 답을 구하는 겁니다. 모르겠다 싶으면 1번 화면으로 가시면 됩니다. 해결했다 싶으면 채팅창을 보세요."

20일 오전 서울 성북구 장위중학교 2학년 7반 교실. 원격수업을 진행하는 선생님의 목소리만 울릴 뿐이었다. 1학년 학생들은 교실 수업을 듣고, 3학년 학생들은 운동장에서 체육을 하고 있었지만 2학년 학생들은 등교하지 못했다. 전면등교 중단 방침 때문이다.

이날은 수도권 모든 학교와 비수도권 일부 학교가 학년별로 대면수업, 원격수업 병행에 들어간 첫날이었다. 수도권 기준 전면등교 4주 만의 'U턴'이다. 하지만 '학년별'로 인원을 제한하다 보니 과밀학급이 많은 우리 학교의 현실상 제대로 된 방역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국 학교의 4곳 중 1곳, 수도권의 경우 3곳 중 1곳꼴로 한 반 학생이 28명 이상인 '과밀학급'인 탓이다.

원격수업해도 과밀학급 교실밀집도 여전

이날 서울, 인천은 초등학교 1~2학년 매일 등교, 3∼6학년은 절반 등교, 중·고등학교는 3분의 2 등교가 시행됐다. 경기는 초 1~2는 매일 등교, 3~6학년은 4분의 3 등교를 허용했다. 비수도권의 경우 조금씩 다르다. 전북은 전면 등교를 유지했으나, 경남의 일부 초등학교는 조기 방학에 들어갔다.

전문가들은 학년별로 등교를 달리하는 방식으론 '학교밀집도'는 낮출 수 있지만 '교실밀집도'는 낮출 수 없다고 분석한다.


20일 오전 서울의 한 초등학교로 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다. 뉴스1

20일 오전 서울의 한 초등학교로 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다. 뉴스1

이은주 정의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체 초중고의 과밀학급 비율은 23.2%다. 특히 수도권은 30.2%다. 초등학교 20.6%, 중학교 58.6%, 고등학교 24.5%에 이른다. 중학교는 절반 이상이 과밀학급이다.

하지만 교육부나 시도교육청 지침은 '학년별' 밀집도 조정만 있을 뿐 학급에 대한 별도 방안은 없다.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 6학년 교사 정모(41)씨는 "개교 10년이 넘는 신도시 근교의 학교는 학급당 학생이 35명이 넘기도 한다"며 "정부에서는 교실 내 거리두기를 하라고 하지만 공간이 없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토로했다.

교육부가 지난해 말 확진자가 많이 발생한 전국 47개 학교를 대상으로 진행한 현장점검에서도 학교방역 시스템의 주요 위험요인 중 하나로 학급당 밀집도가 크다는 점이 지적됐다. 정의당 정책위원회 장혜영 의원은 "교육당국은 과밀학급의 거리두기에 대한 후속 대책을 당장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조기방학 vs 돌봄공백... 애타는 부모들

방학을 눈앞에 두고 갑자기 다시 시작된 '퐁당퐁당' 등교에 대한 반응도 제각각이다. 아예 조기방학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는 반면 맞벌이 가정을 중심으로 돌봄 공백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초등학교 3학년 자녀를 둔 서울 서대문구 학부모 유모(44)씨는 "겨울방학까지는 정상수업을 예상했는데 원격수업으로 바뀌어 당장 또 부모나 친척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며 "매번 정책이 달라져 대응이 힘들다"고 호소했다. 한편 맘카페 등에는 확진자가 쏟아지는 상황에서 "아이를 학교에 보내기 불안한데 왜 조기방학을 하지 않느냐"는 의견도 적지 않다.

윤태석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