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중심 선거? 정책선거? 애초 그런 건 없다

입력
2021.12.13 18:00
25면

편집자주

곤충은 겹눈입니다. 수많은 낱눈으로 들어온 영상을 모아 사물을 모자이크로 식별합니다. 사람의 눈보다 넓은 시각, 더 많은 색깔구분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대선레이스가 점점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거칠고 복잡한 대선판을 겹눈으로 읽어드립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왼쪽부터),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 제3지대 대권주자 김동연 전 부총리가 지난달 22일 오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내 김영삼 전 대통령 묘역에서 열린 6주기 추모식에서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왼쪽부터),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 제3지대 대권주자 김동연 전 부총리가 지난달 22일 오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내 김영삼 전 대통령 묘역에서 열린 6주기 추모식에서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연합뉴스

주로 '선수'들이 공감하는 대선 속설 중에 "일 좀 할 만하면 투표날이다"라는 말이 있다. 방대한 선거조직을 꾸리고 손발을 맞추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공약과 집권 청사진 역시 급조하려니 힘든 '떴다방식 선거'에 대한 자조적 표현이다. 또한 정당의 영속성이 떨어지고 후보와 후보 주변 인물들 중심으로 진행되는 '한국형 대선'을 꼬집는 표현이기도 하다.

하지만 캠페인의 면에서 대통령제 종주국이라고 하는 미국도 크게 다르지 않다. 매우 밀도 높은 책이지만 기본적으로 근사한 자화자찬에 다름 아닌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의 자서전 '약속의 땅: A PROMISED LAND'의 전반부는 이런 '떴다방 선거'의 실체를 잘 드러내고 있다.

초선 상원의원에 불과했던 오바마는 부시 행정부에 대한 대중적 반감의 확대, 전당대회 깜짝 스타인 자신의 인기라는 두 가지 요인만 보고 출마를 결심한다. 소수 측근과 꾸린 캠프는 하루살이식으로 당내 경선을 버텨내는 과정에서 확대되고 공약도 구체화된다. 대통령 후보로 선출된 후에는 막대한 정치자금과 인력풀을 운용하면서 본선에서 쉽게 이겼지만 '당 중심 선거' 같은 것은 애초에 존재하지도 않았다.

언론이나 전문가들, 대중들이나 정치인들도 "당 중심, 정책 중심, 공약 중심 선거가 되어야 한다"고들 말한다. 하지만 내각제 국가의 총선이 아니라 대통령 중심제 국가의 현대 대선은 그런 경우가 거의 없다.

다당제를 담보하는 결선투표제, 이원집정부제라는 안전장치를 둔 프랑스는 미국이나 우리나라보다 한술 더 뜨는 인물 중심 바람몰이 선거다. 현재 프랑스 여당 앙마르슈는 마크롱 대통령 대선 출마를 위한 프로젝트 정당으로 시작됐다. 대통령 당선 직후 마구잡이식 영입과 신인 발탁을 통해 1당의 자리에 올랐다. 다음 대선도 우리보다 불과 한 달 뒤인 4월인데 현재 7파전 양상의 아수라장이다.

그래서 그게 옳다는 말이냐? 그냥 현실이 이렇다는 이야기다. 정권 재창출과 정권교체의 갈림길 속에서 연속성과 안정성을 강화하고 싶다면? 답은 간단하다. 내각책임제를 채택하면 된다.

대통령 선거는 필연적으로 단절적이고 인물 중심적이다. 좋은 원작을 골라서 각본을 만든 다음 사전 제작해서 '쫙'하고 내놓는 드라마가 아니라 주요 출연진과 시놉시스를 가지고 투자를 유치한 다음에 촬영과 편성을 같이하는 한국형 일일드라마에 가깝다. 일단 시작하고 보는 거다. 쪽대본, 밤샘촬영이 횡행하고 시청률과 댓글 반응에 따라 드라마의 전개나 주요 등장인물의 생사가 획휙 뒤바뀐다. 좋게 말하면 인터랙티브 드라마쯤 된다.

게다가 이 드라마의 성패는 드라마 그 자체뿐 아니라 그 드라마가 만들어지는 과정, 백스테이지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작가와 연출자 및 주연 배우의 갈등, 등장 인물에 대한 열혈 시청자와 일반 시청자들의 반응 차이, 주요 배우의 사생활 폭로 등.

이쯤 되면 뭐가 작품이고 뭐가 과정인지 구분하기 힘들다. 과거엔 작품만 잘 나오면 제작과정의 문제는 수면 아래로 가라앉힐 수 있었지만 이제는 오히려 작품보다 더 빨리 과정의 문제들이 실시간으로 중계된다. 오히려 실제보다 더 증폭되기도 한다.

결국 대선 캠페인은 제작진을 계속 꾸려가면서 결말을 모르는 열린 드라마를 만들어 가는 과정이나 다름없다. 정해진 것은 종영일뿐이다.

이런 본질을 이해하고 제작진의 역량, 관객들의 요구, 훈수꾼들의 참견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는 팀이 좋은 드라마를 만들고 시청률 경쟁에서 이길 것이다. 내년 3월 9일에, "한 달만 시간이 더 있었으면" 해봤자 소용없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실장
대체텍스트
윤태곤더모아 정치분석실장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