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변검사로 ‘궤양성 간질성방광염’ 조기 진단 물질 발견

입력
2021.11.30 20:46
구독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소변검사로 난치성 질환인 ‘궤양성 간질성방광염’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생체 표지자)가 발견됐다.

간질성방광염은 극심한 통증과 함께 방광이 점점 딱딱해지고 파괴되는 난치성 질환이다. 말기에는 인공 방광을 달고 살아야 하기에 환자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진다. 일본에서는 궤양성 간질성방광염 환자에게 장애 진단을 내리고 의료비를 지원할 정도다.

궤양성 간질성방광염은 그동안 손쉬운 조기 진단법이 없었다. 현재 진단을 위해 방광 내시경 검사가 필수다. 하지만 검사 과정이 너무 고통스러워 모두에게 시행하기 어렵다.

특히 내시경으로 진단했을 때는 방광이 이미 많이 파괴된 말기일 때가 많아 새로운 선별 검사 진단법이 절실했다.

그동안 세계적으로도 궤양성 간질성방광염을 쉽게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찾는 연구가 많았지만 정상 소변에는 균이 없다고 알려져 새 바이오마커를 찾는 것이 어려웠다.

이에 김영호ㆍ이상욱ㆍ이광우ㆍ김웅빈 순천향대 부천병원 비뇨의학과 교수팀은 방광 내 정상적으로 미생물 생태계(Microbiome)가 존재하며, 미생물 생태계 불균형이 간질성방광염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새로 밝혔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여성 142명(정상인 34명, 비궤양성 간질성방광염 환자 40명, 궤양성 간질성방광염 환자 68명)에게 경요도 카테터(도뇨관)를 통해 소변을 수집한 후 ‘효소 결합 면역 흡착 검사(ELISA)’를 실시해 분석했다.

그 결과, 비궤양성 간질성방광염 환자보다 궤양성 간질성방광염 환자 소변에서 항균펩타이드 물질인 ‘베타 디펜신-2(BD-2)’가 18배 많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SCI 학술지 ‘Diagnostics 11월호(IF 3.2)’에 발표됐다.

이상욱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정상 소변에는 균이 없다’는 기존 학설을 깨고, 방광의 항균 펩타이드 물질인 ‘베타 디펜신-2(BD-2)’가 궤양성 간질성방광염 진단에 쓰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한 세계 최초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했다.

김영호 교수는 “통증성 방광증후군이 심해지면 간질성방광염으로 진행되는데 기존에는 진행 여부를 구별하는 것이 어려웠다”며 “이번 발견으로 통증성 방광증후군 환자에게 내시경 검사 시행 여부를 결정하고, 난치성 질환인 궤양성 간질성방광염을 조기 진단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