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경찰 불신 확산에… 신임 경찰 1만명, 특별 훈련 받는다

입력
2021.11.25 09:32
수정
2021.11.25 10:15
구독

현장성 결여 우려에 내달부터 추가 훈련
"실전 중심 속성 훈련 통해 대응력 향상"
"사명감, 봉사정신 키워야" 정신교육도
코로나로 멈췄던 '물리력 대응 훈련'도 재개

김창룡 경찰청장이 18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경찰 교육 ·: 훈련 혁신 비전 대국민 발표를 하고 있다. 뉴스1

김창룡 경찰청장이 18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경찰 교육 ·: 훈련 혁신 비전 대국민 발표를 하고 있다. 뉴스1

인천 층간소음 흉기난동 사건에 대한 부실 대응 논란으로 경찰의 현장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경찰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이후 배치된 신임 경찰관을 대상으로 특별 훈련을 실시하기로 했다.

25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경찰청은 2020년 1월 이후 입사한 신임 경찰관을 대상으로 다음달부터 내년 2월까지 현장 대응력을 키우기 위한 특별 훈련을 실시하는 방안을 확정했다. 정식 임용된 현직 경찰관을 대상으로 추가 훈련을 실시하는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로, 경찰력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는 상황을 특단의 대책으로 돌파하겠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김창룡 경찰청장은 전날 전국 경찰에 보낸 서한문에서 "우리 목표는 '국민의 생명·신체·재산의 보호'이며 오늘부터 비상대응 체제 전환을 선언한다"고 밝힌 바 있다.

특별 훈련 방침에 따라 지난해 1월부터 현재까지 중앙경찰학교를 졸업해 현장에 배치된 신임 경찰 전원이 이르면 다음주부터 추가 교육을 받게 됐다. 인원은 1만620명이며, 경찰 기수로는 300~307기에 해당한다. 인천 사건에 출동했다 현장을 이탈해 물의를 빚은 A순경이 소속된 305기도 포함됐다.

경찰 내부에서는 이들 중 상당수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집단 훈련 중단으로 제대로 된 실전 교육 없이 경찰에 입문하고, 일선에 투입된 뒤에도 체포술과 사격술, 테이저건 사용법 등 대면 훈련을 받지 못해 현장 대응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온다. 앞서 중앙경찰학교도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4월까지 진행된 교육과정을 평가한 신임 경찰 교육훈련계획 보고서에서 "현장성과 실전성이 결여됐다"고 분석한 바 있다.

경찰 관계자는 "신임 경찰의 현장 대응력에 대한 우려가 큰 만큼 즉시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을 논의한 끝에 신속하게 추가 교육을 실시하기로 했다"며 "기수별로 일주일씩 교육 및 훈련을 받게 되는데 꼬박 3개월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훈련의 핵심은 현장 사례를 중심으로 한 실전 적응이다. 최초 신고부터 출동, 상황 전파, 공조 요청, 검거 등 상황병 대처 교육과 테이저건 사격, 삼단봉과 수갑 사용 등 진압장비 활용 훈련이 주가 될 것으로 보인다.

경찰은 이들에 대한 경찰 사명감과 경찰 윤리 등 정신 교육도 실시할 방침이다. 경찰 관계자는 "경찰의 사명감, 봉사정신 내재화 등에 대한 교육도 중요하게 다뤄질 것"이라며 "향후에도 신임 경찰들은 지방청 교육센터를 중심으로 윤리 교육을 의무적으로 받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고참들도 현장 중심 실전훈련 강화"

경찰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경찰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코로나19로 중단됐던 현장 경찰관 대상 물리력 대응 훈련도 재개된다. 외근직을 담당하는 현장 경찰 대상 훈련은 매달 2시간씩 정기적으로 실시됐지만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사실상 중단되고 온라인 교육 등으로 대체됐다.

경찰은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 방침에 따라 기존 현장 대응 교육을 정상화하는 동시에 훈련 커리큘럼을 실전 중심으로 바꾸기로 했다. 흉기를 이용한 치명적인 공격이 있을 때 경찰 진압장비 사용 요령과 체포술 등 급박한 상황에서 적용 가능한 실전 위주 교육에 집중한다는 설명이다.

특별 훈련을 향한 경찰 안팎의 평가는 일단 긍정적이다. 오윤성 순천향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신임 경찰이 입문하면 현장에 의무적으로 배치되는데 경력이 짧기 때문에 훈련이 무엇보다 중요한 부분"이라며 "전례가 없는 특단의 조치이고 맞춤형 훈련인 만큼 부족한 현장 대응력을 상당 부분 채울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손효숙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