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83년 11월9일 시내버스 운전사·안내양 2교대 8시간 근무 의무화

입력
2021.11.09 05:30
구독

1983년 11월 9일
하루 18시간 이상 근무…교통 사고 위험 노출

편집자주

한국일보 DB 속 그날의 이야기. 1954년 6월 9일부터 오늘날까지, 한국일보 신문과 자료 사진을 통해 '과거의 오늘'을 돌아봅니다.

1983년 11월 10일자 한국일보 11면.

1983년 11월 10일자 한국일보 11면.

1983년 11월 9일, 노동부는 시내버스 운전사와 여차장(안내양)의 과로로 인한 교통사고와 직업병 예방을 위해 2교대 8시간 근무제 방침을 확정, 각 시내버스 사업체에 통보했다. 노동부는 그해 7월부터 전국 33개 업체에서 1일 2교대제를 시범으로 해본 결과 노동자들이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며 전국 361개 업체로 확대 시행을 발표한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버스업체들은 인력난과 인건비 절감을 위해 운전사와 여차장을 하루 18시간 이상 2, 3일간 연속 근무 후 하루 휴식하게 하는 변칙 근무를 일삼았다.

(※ 1983년 11월 10일 지면 보러 가기 ☞ https://www.hankookilbo.com/paoin?SearchDate=19831110 링크가 열리지 않으면 주소창에 URL을 넣으시면 됩니다.)

당시 발표에 여차장이 포함된 것은 버스에 여차장 배치가 의무였기 때문이다. 여차장은 1961년 6월 버스운송사업법에 따라 의무화되어 모든 버스에 타게 됐다. 당시 여차장 대부분은 어린 나이에 일을 시작하며 버스회사의 감시와 인권침해 등 많은 고충을 겪었다. 이후 1989년 버스안내원을 두도록 한 자동차운수사업법 조항이 삭제되면서 여차장은 추억 속으로 사라졌다.

1975년 버스 종점에서 요금을 정산해 회사에 제출하는 버스 여차장 모습. 요금을 숨겼는지를 확안하기 위해 몸수색을 하기도 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1975년 버스 종점에서 요금을 정산해 회사에 제출하는 버스 여차장 모습. 요금을 숨겼는지를 확안하기 위해 몸수색을 하기도 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우리나라의 법정근로시간은 1953년 근로기준법 제정 시 처음으로 1일 8시간, 1주 48시간을 채택해 89년까지 이어졌다. 이후 89년 3월에 주 46시간, 91년에는 주 44시간으로 줄었다. 하지만 연장·휴일근로 등으로 실제 근무하는 시간은 이를 훨씬 웃돌아 세계 최장수준의 근로시간이라는 오명은 쉽게 사라지지 않았다. 2018년 주 최대 52시간(법정근로 40시간+연장근로 12시간)으로 관련 법이 개정되기 전까지 연장근로 포함 공식적인 최대 근로시간은 주 68시간이었고, 여전히 근로시간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1978년 8월 버스 여차장이 요금을 받고 있다. 이미 버스는 승객으로 가득 찼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1978년 8월 버스 여차장이 요금을 받고 있다. 이미 버스는 승객으로 가득 찼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1978년 버스 여차장 숙소. 한국일보 자료사진

1978년 버스 여차장 숙소. 한국일보 자료사진

▲ 아래 주소로 들어가시면 1954년 6월 9일 창간호부터 오늘까지 2만3,000여 호의 한국일보 신문 PDF를 무료로 볼 수 있습니다.

(☞ https://www.hankookilbo.com/paoin )

▲ 아래 주소로 들어가시면 근현대사 주요 사건사고와 인물사진 등 100만여 건의 다양한 한국일보 고화질 보도사진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 https://hkphoto.hankookilbo.com/photosales )

김주성 기자
자료조사= 김지오 DB콘텐츠팀 팀장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