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층과 거꾸로인 정책?... 윤석열 '중도·온건' vs 홍준표 '보수·선명'

입력
2021.11.03 09:00
4면
구독

핵심 지지층 성향과는 정반대

지난달 31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S본관 스튜디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20대 대선 경선후보자 10차 토론회에서 윤석열(왼쪽) 전 검찰총장과 홍준표 의원이 토론을 준비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지난달 31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S본관 스튜디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20대 대선 경선후보자 10차 토론회에서 윤석열(왼쪽) 전 검찰총장과 홍준표 의원이 토론을 준비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국민의힘 대선후보 자리를 두고 다투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홍준표 의원은 정책 공약부터 차별화된다. 홍 의원은 보수 색채를 분명히 한 선명성이 특징인 반면, 윤 전 총장은 상대적으로 중도를 겨냥한 온건 성향의 공약이 많았다. 윤 전 총장의 핵심 지지층이 전통 보수층이고 홍 의원이 중도층에서 지지율이 높은 점을 감안하면, 지지층과 정책 성향은 정반대인 셈이다.

①洪 "전술핵 재배치" vs 尹 "경제 지원·협력"

양측의 차이점이 두드러진 분야는 대북·안보정책이다. 홍 의원은 대북정책의 틀을 '남북 불간섭과 체제 경쟁주의'로 전환하고 문재인 정부에서 이뤄진 9·19 남북군사합의를 폐기하겠다고 밝혔다. 전술핵 재배치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식 핵 공유를 통한 군사력 증강 방안도 제시했다. 모병제 전환 등 파격적인 공약도 일부 포함돼 있지만, 대체로 '보수색채'를 분명히 드러냈다는 평가가 많다.

상대적으로 윤 전 총장은 온건한 편이다. 윤 전 총장 측은 홍 의원의 대북정책 공약에 대해 "우리가 자체 핵 개발과 무장평화를 외친다면 통일의 순간이 왔을 때 국제사회가 대한민국의 손을 들어줄 것인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비핵화 진전에 따른 경제 지원과 협력사업 추진 △남북 간 소통 증대 등 대화를 통한 해결을 강조했다. 윤 전 총장의 대북정책을 두고 홍 의원이 '문재인 정권 시즌2'라고 공격하는 이유다.

②洪 "종부세 폐지" vs 尹 "부자 감세 부작용"

부동산·경제공약도 마찬가지다. 홍 의원은 종합부동산세 폐지, 1주택자의 10년 이상 보유주택에 대한 양도소득세 면제를 제시했다. 문재인 정부에서 강화한 부동산 관련 세금을 폐지하겠다는 것이다. 서울 도심 부동산의 재개발·재건축 용적률은 현행 145%에서 1,500%까지 상향하겠다는 '화끈한' 공약까지 내놓았다.

국민의힘 대선 경선후보 홍준표 의원과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SNL 코리아'에 출연해 '밸런스 게임'에 임하는 모습. 유튜브 캡처

국민의힘 대선 경선후보 홍준표 의원과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SNL 코리아'에 출연해 '밸런스 게임'에 임하는 모습. 유튜브 캡처

윤 전 총장은 '공급 확대·세 부담 완화'라는 방향성은 같지만 강도는 약하다. 종부세는 '폐지'가 아니라 '재검토'하겠다는 게 대표적이다. 윤 전 총장 측은 정책자료를 통해 "홍 의원 공약대로 양도소득세를 완전히 면제한다면 1주택이라도 30억 원 이상의 고가주택의 경우 부자감세 논란, 세금 형평성 문제 등 부작용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홍 의원은 법인세 최고세율 하향을 약속한 반면, 윤 전 총장은 "증세도 필요하다"며 법인세·소득세 인상을 시사했다.

③洪 "정시모집 100%" vs 尹 "정시 확대"

홍 의원은 교육분야에서도 △100% 정시모집 △로스쿨·의학전문대학원·국립외교원 폐지를 공약했다. 반면 윤 전 총장은 "입시제도의 변경으로 인한 불이익은 소득이 낮은 계층의 학생들에게 훨씬 크다"며 정시 비율 확대를 공약했다. 그는 "정시 100%라든지, 사시 부활이라든지 하는 말들이 시원해 보일지 모르지만 과연 그게 청년 전체를 놓고 봤을 때 도움이 되는 건지 의문"이라고 홍 의원 공약을 비판했다.

각종 여론조사 결과, 윤 전 총장은 보수성향, 홍 의원은 중도·진보성향 유권자들의 지지율이 높다. 정책을 보고 판단했다기보다는 각 후보에게 투영된 이미지에 근거한 지지라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홍 의원은 2030세대의 지지를 확보하며 '탈꼰대' 이미지를 구축한 반면, 윤 전 총장은 '주 120시간 노동' '전두환 옹호' 발언 등으로 '강성 보수' 이미지가 굳어진 탓으로 보인다.

손영하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