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단독] 1학기 전면등교했던 대구... '극한직업' 급식실 조리사 퇴사 급증

입력
2021.11.01 04:30
8면
구독

'위드 코로나' 학교, 급식 대란 피하려면 조리사 늘려야

9월 8일 오전 경남 김해시 한 초등학교 급식실에서 칸막이를 사이에 두고 학생들이 점심을 먹고 있다. 연합뉴스

9월 8일 오전 경남 김해시 한 초등학교 급식실에서 칸막이를 사이에 두고 학생들이 점심을 먹고 있다. 연합뉴스

11월 22일부터 전국 초‧중‧고등학교가 전면등교를 시작하는 가운데, 올해 1학기 전면등교를 먼저 실시한 지역에서 학교 급식 종사자들의 중도 퇴사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 그래도 '극한직업'이라고 불릴 만큼 일이 힘들었는데, 코로나19 이후 방역까지 챙기느라 업무가 폭증한 영향이 크다. 지난해엔 그나마 부분등교로 급식 먹는 학생 수가 줄어서 버텼지만, 등교 확대 후 학생 수가 예년과 비슷해지면서 업무 강도가 크게 늘었다.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 전면등교에 앞서 학생당 급식 종사자 수를 현실화하고, 불필요한 잡무를 금지시킨 교육부 매뉴얼이 현장에서 지켜지는지 단속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학기 학교급식 종사자 퇴사 규모 전년 넘어

지난달 31일 한국일보가 강은미 정의당 의원실에 의뢰해 입수한 시·도교육청 ‘학교 급식 종사자 중도 퇴사 현황’ 자료에 따르면 서울, 경기, 대구, 광주, 울산, 세종 등 대부분 지역의 올해 1학기 급식 종사자 중도 퇴사 규모가 이미 지난해 수준을 넘거나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올 3월부터 전면등교를 실시한 대구의 급식 종사자 중도 퇴사(산재‧병가 사유 포함) 수는 2018년 45명, 2019년 46명, 2020년 67명, 2021년(1~6월) 93명으로, 3년 반 사이 코로나19 전보다 배 이상 치솟았다. 역시 1학기 전면등교를 실시한 세종도 2018년 39명, 2019년 46명, 2020년 58명, 2021년(1~6월) 59명으로 급증했다.

코로나19 유행 발생 직후 등교를 중지했던 교육당국은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수차례 학교 밀집도 조정을 통해 등교를 확대해왔다. 대구·세종을 필두로, 강원·충북·전남 등도 올해 6월 전후 전면등교를 시작했다. 수도권을 포함한 다른 지역 역시 초등 1·2학년 매일 등교 등 각종 ‘예외 규정’을 추가해 등교일수를 늘렸다.

그 결과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지난해 소폭 줄어든 학교 급식 종사자 중도 퇴사 규모가 올해 들어 급격히 치솟았다. 광주는 중도 퇴사자 수가 갈수록 늘다가(2018년 22명→2019년 42명) 코로나19 유행 발생 직후 소폭 줄었지만(2020년 31명), 올해 다시 63명으로 폭증했다. 경기 역시 마찬가지 패턴을 보였다(2018년 311명, 2019년 358명, 2020년 319명, 2021년 391명).

지난 5월 26일 강원 춘천시 한 초등학교 급식실에서 조리원들이 식탁 가림막을 소독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5월 26일 강원 춘천시 한 초등학교 급식실에서 조리원들이 식탁 가림막을 소독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리사 1명이 142인분 밥 지어... 공공기관의 3배

학교 급식 관계자들은 그렇지 않아도 업무 강도가 높아 중도 퇴사자가 증가하던 터에 코로나19가 기름을 부었다고 말한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학비노조)이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서 받은 급식 식수원(조리사, 영양사) 1인당 학생수는 평균 142명으로, 공공기관 평균 52.3명(국립대병원 포함 28.8명)의 약 3배에 달했다.

이재진 학비노조 정책국장은 “나이 든 급식 종사자가 은퇴한 후 신입을 선발하면 높은 업무 강도에 중도 퇴사하는 사례가 늘고 있었다”면서 “여기에 코로나19로 인한 방역 업무가 추가되며 '중도 퇴사→신입 선발→중도 퇴사' 악순환이 급증해 일부 지역은 사람을 못 구할 정도”라고 말했다.

특히 각종 방역 업무가 폭증했지만, 인력 배치 기준이 코로나19 이전과 같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 경기도의 한 중학교 조리사 하모씨는 “학교마다 방역 인력을 뽑았지만, 학생들이 직접 배식 봉사를 한다는 명분으로 급식실에 배치하지 않았다"며 "코로나19 때문에 인원을 나눠 식사하니까 배식 시간이 증가해 반찬을 몇 번씩 더 하거나, 조리기구를 여러 번 소독해야 한다"고 말했다. 학교 방역이 제대로 되기 위해서라도 추가 인력이 시급하다는 의미다.

당장 추가 인력 투입이 어렵다면 각종 ‘잡무’부터 줄여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의 한 중학교 조리사 박모씨는 “상당수 학교가 교직원 식당을 따로 두고 같은 메뉴라도 별도로 만들게 하기 때문에 가뜩이나 적은 인력을 쪼개 써야 한다"며 "교육부 지침에서 금지한 이런 일만 현장에서 줄어도 덜 수고로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윤주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