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전두환 "날 알아보시겠나"에 눈 깜박인 노태우... 7년전 마지막 만남

입력
2021.10.27 04:30
수정
2021.10.27 16:50
3면
구독

전두환, 신군부 이끌고 노태우 '2인자'
全, 靑 입성 후 논공행상 계기로 거리
盧 정권 '5공 청문회'로 全 백담사 유배?
전두환, 노태우 부고에 말 없이 눈물

1987년 민정당 전당대회에서 대통령 후보로 지명된 노태우(왼쪽) 대표와 전두환 대통령이 손을 맞잡고 대의원들의 환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1987년 민정당 전당대회에서 대통령 후보로 지명된 노태우(왼쪽) 대표와 전두환 대통령이 손을 맞잡고 대의원들의 환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노태우 전 대통령의 인생에서 빠트릴 수 없는 인물은 전두환 전 대통령이다. 육군사관학교 11기 동기인 두 사람은 군내 사조직인 '북극성회'와 '하나회'를 이끈 주축으로 1979년 10·26 사태에 따른 혼란기를 틈타 12·12 군사 반란에 앞장섰다. 이후 앞서거니 뒤서거니 대통령 자리까지 올랐고 퇴임 후 내란죄로 구속되는 영욕을 함께 했다.

1955년 소위로 임관한 두 사람은 1961년 박정희 전 대통령의 5·16 군사 쿠데타부터 본격적으로 손을 맞잡았다. 후배들을 이끌고 '군사혁명 지지 카퍼레이드'에 나서면서다. 이후 12·12 군사 반란을 거치면서 정치에 노골적으로 개입하는 경위도 동일했다. 전 전 대통령이 전면에 나서 신군부를 이끌었다면 노 전 대통령은 이를 뒷받침한 '2인자'였다.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은 육사 생도 시절부터 하나회 등 군내 사조직을 만들어 정치에 관여했다. 육사 생도 시절 11기 하나회 멤버들. 뒷줄 맨 오른쪽이 노 전 대통령, 그 바로 옆이 전 전 대통령이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은 육사 생도 시절부터 하나회 등 군내 사조직을 만들어 정치에 관여했다. 육사 생도 시절 11기 하나회 멤버들. 뒷줄 맨 오른쪽이 노 전 대통령, 그 바로 옆이 전 전 대통령이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노 전 대통령의 결혼식에서 사회를 봤을 만큼 돈독했던 두 사람의 우정에 금이 가기 시작한 계기는 전 전 대통령이 청와대에 입성하면서다. 노 전 대통령이 내심 육군참모총장 임명을 바랐지만, 오히려 반강제적으로 전역을 당했기 때문이다. 육군 수장이 되지 못한 노 전 대통령은 전두환 정권에서 체육부·내무부 장관 등을 거치며 차기 대선주자로 입지를 다졌다.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요구한 1987년 6월 민주항쟁도 두 사람의 우정을 시험한 사건이었다. 민주정의당 대선후보였던 노 전 대통령은 청와대 입성에 빨간불이 켜지자, 직선제 개헌을 수용하는 6·29 선언을 발표하며 임기 말 전두환 정권과 거리두기에 나섰다.

노 전 대통령 취임 후 두 달 뒤 치러진 1988년 13대 총선은 두 사람이 틀어진 결정적 계기였다. "총선 승리를 위해서는 5공과 단절해야 한다"는 참모들의 요구를 노 전 대통령이 수용하면서다. 그간 '상왕' 노릇을 했던 전 전 대통령은 국가원로자문회의 의장에서 내려왔고, 전 전 대통령의 동생인 전경환 새마을운동본부 명예총재는 수십억 원을 횡령한 혐의로 구속됐다.

2003년 2월 25일 국회에서 열린 제16대 대통령 취임식 취임선서 중 김영삼, 노태우, 전두환 전 대통령. 고영권 기자

2003년 2월 25일 국회에서 열린 제16대 대통령 취임식 취임선서 중 김영삼, 노태우, 전두환 전 대통령. 고영권 기자

13대 총선 참패로 여소야대 국회가 되면서 정국 주도권은 야권으로 넘어갔다. 야권의 '5공 비리 청산' 요구에 전 전 대통령은 자신이 유치했던 1988년 서울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할 수 없었다. 노 전 대통령이 참석을 만류한 것이다. 그해 11월에 열린 '5공 청문회' 이후 전 전 대통령은 강원도 인제 백담사로 유배를 떠나야 했다.

전 전 대통령의 백담사 유배 동안 노 전 대통령은 권력 기반 강화를 위해 YS(김영삼 전 대통령)의 통일민주당, JP(김종필 전 국무총리)의 신민주공화당과 3당 합당(1990년)을 선언하면서 전 전 대통령과의 거리는 더욱 멀어졌다.

두 사람은 1996년 1월 5·18 민주화운동 진압과 12·12 군사반란 등에 따른 내란죄로 구속 기소되면서 또다시 언론의 조명을 받았다. 1996년 8월엔 1심 선고를 기다리는 재판정에서 두 손을 맞잡은 모습은 화제가 됐다.

1996년 8월 26일 12·12사건 17년 만에 열린 선고 공판에서 서로 위로하듯 손을 맞잡고 있는 노태우 전 대통령과 전두환 전 대통령. 한국일보 자료사진

1996년 8월 26일 12·12사건 17년 만에 열린 선고 공판에서 서로 위로하듯 손을 맞잡고 있는 노태우 전 대통령과 전두환 전 대통령. 한국일보 자료사진

노 전 대통령은 2011년 회고록에서 "우리는 우정과 동지애가 강했지만 우정을 국가보다 상위에 놓을 수 없게 됐다. 전임자는 내게 배신감을 느끼며 서운해할 수 있는 것이고 나는 미안해하면서도 '어쩔 수 없다'는 마음을 가졌다"고 했다.

2002년 전립선암 수술 이후 노 전 대통령이 오랜 투병생활을 하면서 두 사람 간에는 좀처럼 화해의 자리가 마련되지 못했다. 다만 전 전 대통령은 2014년 8월 예고 없이 노 전 대통령 자택을 찾아 병상에 누운 노 전 대통령을 향해 "이 사람아, 나를 알아보시겠는가"라고 말을 건넸고, 노 전 대통령은 눈을 깜빡이며 화답했다. 두 사람의 생애 마지막 만남으로 전해진다.

전 전 대통령은 노 전 대통령의 부고 소식을 듣고 별 말 없이 눈물을 흘린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혈액암의 일종인 다발성 골수종 진단을 받고 투병 중이어서 빈소를 조문할 가능성이 크지 않다.

정승임 기자
김지현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